스타링크 韓 진출 임박…정부, 전파 혼간섭 방지 '총력'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스페이스X가 오는 6월 국내에서 위성통신서비스 ‘스타링크’ 서비스를 개시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가 전파 혼간섭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중앙전파관리소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저궤도 위성감시 시스템 구축’과 ‘저궤도 위성감시 시스템 구축 감리’ 사업을 공고했다.
현재 스타링크, 원웹 등은 위성통신용 저궤도 위성 약 6800여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오는 2027년 약 1.7만여기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가운데 업계에선 스페이스X(스타링크)·원웹 등의 국내 시장 진출에 따른 전파 혼간섭 우려가 제기됐다. 당장 스페이스X가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요청한 ‘Ku’(12~18㎓) 대역만 해도 현재 무궁화위성을 운용하는 KT SAT이 이미 사용 중인 대역이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도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기존 정지위성 서비스 보호를 위한 채비에 나섰다. 전파 혼간섭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지구국(이용자 단말) 기술 기준안을 마련하는 한편, 최근엔 저궤도 위성감시 시스템 개발에 나선 것이다.
저궤도 위성감시 시스템은 Ku대역을 사용하는 저궤도 위성을 추적·감시하여 위성 신호가 ITU-R 전파규칙에 규정(제21조 및 22조)된 기준값을 준수하는 지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위성 절체(교환) 시간 단위로 감시 영역 내 저궤도 위성들을 순차적으로 추적하고, 실시간으로 신호 발사 여부 탐색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전파 혼간섭 발생시 혼신원을 탐색 및 제거하여 전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이와 관련 정부관계자는 “저궤도 위성과 국내 정지위성 간 혼간섭에 대응하고, ITU 규정 준수 여부 감시 등을 수행하여 한반도 상공의 위성 전파주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축 작업은 크게 두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저궤도 위성 추적 및 위성 전파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전파 수신 장비를 우선 설치한 뒤, 시스템을 통합 관리·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DB)등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11월30일까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중앙전파관리소 관계자는 “지난해 4월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저궤도 위성감시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제안요청서를 준비해왔다”라며 “현재 사업 공고를 거쳐 (제안서)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스페이스X는 오는 6월 국내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시작할것으로 예측됐다. 현행법상 외국인 사업자가 국내에서 기간통신사업을 영위하려면 별도 법인을 설립해야 하는 가운데, 스페이스X는 별도 법인을 통해 국경 간 공급 승인 신청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 절차는 5월 중 마무리될 전망이다.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발달장애 편견없는 세상 만드는 데 동참"
2025-04-17 17:32:41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