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 CJ 회장, 올리브영 일본 보폭 넓힌다…K라이프스타일 현지화 박차
[디지털데일리 최규리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새해 첫 글로벌 현장경영지로 일본을 택하며 올리브영의 일본 시장 확대에 힘을 실었다.
9일 CJ그룹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사흘간 도쿄를 방문한 이 회장은 일본 유통·금융·엔터테인먼트 업계 주요 인사들과 연쇄 회동하며, 그룹의 글로벌 전략을 점검하고 올리브영의 현지 진출 전략에 속도를 낼 것을 주문했다.
이번 일정에는 김홍기 CJ주식회사 대표, 윤상현 CJ ENM 대표,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등 그룹 주요 경영진이 동행했다.
이 회장은 일본지역본부를 방문해 현지 사업 성과를 점검하는 자리에서 "일본에 다시 불붙은 한류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라며 "비비고, 콘텐츠뿐 아니라 올리브영 등 이미 준비된 사업들이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시장을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지화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수요를 확장해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경영진들에게 올리브영의 일본 진출과 관련한 신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할 것을 지시했다. 로컬 파트너십을 통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K뷰티를 중심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전반에서 일본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혀야 한다는 판단이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일본과 미국을 글로벌 우선 전략 국가로 선정하고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자체 브랜드를 앞세운 오프라인 유통 채널 확대와 글로벌몰 운영 고도화를 통해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일본 내 2030세대를 중심으로 확산 중인 K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선점하려는 전략이다.
실제 최근 일본에서는 과거 K팝·드라마 중심의 한류에서 벗어나 식품·뷰티·패션 등으로 K컬처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팬덤 활동을 뜻하는 '오시카츠'가 전 연령대로 확산되며, 일본 2030세대가 이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로컬 파트너십 기반의 현지화 전략이 한국 기업들의 새로운 글로벌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이 회장은 이번 일본 방문 중 TBS홀딩스, 이토추상사,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등 주요 기업 경영진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일본 통화·금융 전문가인 호시 다케오 도쿄대 교수와 한일 문화콘텐츠 전문가들과 만나 K컬처 확산 흐름 속에서 사업 확대 기회를 모색했다. 이 회장은 올 초 CJ ENM 커머스부문, CJ대한통운 등 국내 주요 계열사도 직접 찾아 현장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이 밖에도 CJ그룹은 식품·엔터테인먼트·뷰티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일본 사업을 전개 중이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만두와 김밥 등 간편식을 중심으로 현지 유통을 확대하고 있으며, CJ ENM은 2019년 일본 합작법인 라포네를 설립해 JO1, INI 등 K팝 그룹을 성공적으로 현지화한 데 이어, MCS(Music Creative eco-System) 기반 플랫폼을 구축해왔다. 또 KCON, MAMA AWARDS 등의 지속 개최를 통해 K팝 팬들과의 접점을 강화하고 있다.
CJ 관계자는 "일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K컬처가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트렌드를 직접 파악하고 글로벌 진출 전략을 점검하는 취지"라며 "국내외 현장경영을 통해 그룹 비전을 공유하고, 글로벌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발달장애 편견없는 세상 만드는 데 동참"
2025-04-17 17:32:41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