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유출 논란' 딥시크에 질의서 보낸 개인정보위…"긍정적 답변 받았다"
[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정보 유출 논란을 빚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딥시크 측은 한국 시장에 불거진 우려를 인지하고 있다며 개선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기자단 정레브리핑을 열고 "올 초 국내에서 논란이 불거진 이후 (딥시크 측에) 질의서를 보냈고, 답변이 왔다"며 "기본적으로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큰 틀의 관심과 긍정적인 메시지가 온 상태"라고 말했다.
추후 진행 사항에 대해서는 검토 단계에 있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은 파악이 진행되고 있다"며 "(현 시점에서는 딥시크가) 한국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국내 법 체계에 맞추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전했다.
딥시크는 올 초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평가와 함께 AI 시장에 충격을 준 동시에, 무단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로 유출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우려의 중심에 선 바 있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 국내 서비스가 15일 오후부터 잠정 중단됐다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선 및 보완 작업이 끝난 이후 서비스를 재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신규 다운로드 등을 제한하겠다는 취지다.
고 위원장은 서비스 재개 시점에 대해 "구체적인 타임라인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딥시크에서 스스로 정비할 부분이 있고, 위원회가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해 충실하게 답을 제시할 부분이 있다"며 "(차단 해제를 위해) 양쪽에서 '준비가 됐다'는 판단이 필요한데, 지금 시점에서 언제쯤이라고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딥시크가 AI 시장에 부정적인 의미만 남긴 것이 아니라는 점도 언급했다. 오픈소스 환경에서 AI 모델을 가져와 미세조정(파인튜닝)하거나 검색증강생성(RAG) 체계를 구현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국내 AI 생태계 발전에 있어 장려할 부분이라는 취지다.
고 위원장은 "AI 모델을 가져와 튜닝을 하고 응용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원칙적으로 격려하고 장려하는 부분"이라며 "오픈소스용 모델을 통해 한국 소비자가 좋아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좋은 일이고, 불안 요소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개인정보위를 포함해 관련 부처에서 신경 쓸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딥시크 외에도 중국 AI 기업이 자국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정부가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시사했다.
고 위원장은 "중국이 국가안보 목적으로 기업들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갈 가능성이 있다는 불안 요인이 있다"며 "개별 이용자 및 소비자 차원에서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지 않냐는 맥락의 우려가 있어, 정부와 위원회 차원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개인정보위가 독자적으로 정책적 판단을 할 수 없는 부분도 있어, 관련 부처와 고민을 공유하며 협업하고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한편 개인정보위는 메타가 제기한 과징금 취소 소송에 최종 승소하며, 시정명령 등을 이행하도록 촉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앞서 행정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소송 전담팀을 구성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 실무적 요인으로 지연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고 위원장은 "(출범 시기는) 4월 초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망사용료 또 언급한 美 USTR, 통상마찰 우려 있나 [IT클로즈업]
2025-04-01 17:58:58산업기술보호법 시행령 개정안 '맹탕' 논란… '검은 머리 외국인'에 의한 국가 핵심기술 유출 우려↑
2025-04-01 17: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