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2045년에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배터리 핵심원료인 수산화리튬을 2만 톤가량 조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등장했다. 이는 NCM811 배터리를 약 63만개 만들 수 있는 양이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의 원료조달 효과성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김유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에게 분석을 의뢰해 기록됐다.
국내 전기차 보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오는 2035년에는 폐배터리 재활용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원료의 자체 조달분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구체적으로는 2045년 ▲수산화리튬 2만톤 ▲황산망간 2만1000톤 ▲황산코발트 2만2000톤 ▲황산니켈 9만8000톤가량을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해당원료의 작년 수입량 대비 28%, 41배, 25배, 13배에 수준이다.
보고서는 환경부의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를 토대로 2030년까지의 국내 전기차 보급량을 설정하고, 그때까지의 추세선을 2040년까지 적용해 폐배터리 발생량을 추정했다. 다만 변인 통제를 위해 국내 보급 전기차의 폐배터리만을 재활용 대상으로 했으며, 스크랩 재활용 및 폐배터리 수출입분은 제외했다.
이를 토대로 연간 재활용될 폐배터리 양을 추정한 결과, ▲2030년 1만8000톤(4만개) ▲2035년 9만톤(18만4000개) ▲2040년 22만5000톤(40만6000개) ▲2045년 41만6000톤(63.9만개)으로 나타났다.
수치를 바탕으로 하면 즉 폐배터리 41만6000톤에서 수산화리튬 2만톤, 황산망간 2만1000톤, 황산코발트 2만2000톤, 황산니켈 9만8000톤이 회수될 수 있는 셈이다.
보고서는 2045년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 가능한 수산화리튬 2만 톤은 약 63만개의 NCM811 배터리(니켈:코발트:망간이 6:2:2, NCM811은 8:1:1로 함유된 배터리 규격)를 새로 만드는 데 필요한 양이라고 분석했다. 또 황산코발트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NCM622 43만개, NCM811 97만개를 제조할 수 있다.
끝으로 보고서는 폐배터리의 안정적 수입선 확보와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배터리 재활용 설비용량은 2022년 3만7000톤에서 2027년 16만8000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2027년 재활용될 것으로 추정되는 전기차 폐배터리 양은 약 3000톤으로 설비용량의 2%에 불과하다. 2030년까지 16.8만 톤의 설비용량을 유지한다고 가정해도 처리량은 설비용량의 11% 수준에 그쳐, 100%를 달성하려면 15만 톤 분량의 폐배터리 또는 스크랩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할수록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핵심원료 회수량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국내 폐배터리 수거·확보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적극 협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 부회장은 이어 “주요국들이 역내 재활용 생산을 정책화하고 있는 만큼 폐배터리 자체가 전략물자화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은 폐배터리를 ‘제2의 원석’ ‘도시광산’으로 인식하고 공급선 확보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