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겨울에 태어난 '사파이어 래피즈'…삼성·SK '바람막이' 될까 [IT클로즈업]
- DDR5·CXL 첫 지원하는 인텔 데이터센터용 프로세서
- 반도체 한파 맞이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기대감↑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기다리고 기다렸더니 드디어 나왔다.”
인텔의 차세대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인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코드명 사파이어 래피즈)’ 출시에 대한 국내 반도체 업계 반응이다.
지난 1~2년 동안 메모리 시장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D램 세대교체였다. 증권가에서 DDR5 수혜주로 묶이는 기업들이 대거 등장할 정도였다. D램은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가 정하는 규격인 ’더블데이터레이트(DDR)’에 따라 나뉜다.
DDR은 한 클럭 사이클 동안 두 번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DDR 2차선 ▲DDR2 4차선 ▲DDR3 8차선 ▲DDR4 16차선 ▲DDR5 32차선 수준으로 확대된다. 최신 버전인 DDR5 D램의 칩당 최대 용량은 64기가비트(Gb)다. DDR4 D램(16Gb) 대비 4배 높다. 소비전력은 1.1볼트(V)로 9% 적고 최대 대역폭은 6400초당메가비트(Mbps)다. 쉽게 말해 더 적은 전력으로 더 좋은 성능을 낸다는 뜻이다.
현시점에서 가장 상용화된 건 DDR4 D램이다. D램은 핵심 응용처인 PC와 데이터센터에서 CPU와 짝을 이룬다. 따라서 D램이 다음 규격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는 CPU 존재가 필수적이다.
사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D램 제조사들은 진작부터 DDR5 관련 준비를 마쳤다. CPU 양대 산맥인 인텔과 AMD만 스탠바이하면 DDR4에서 DDR5로 넘어갈 수 있었다. 당초 인텔은 2021년 하반기 DDR5를 처음으로 지원하는 사파이어 래피즈를 내놓을 예정이었다.
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윤석열 파면] 헌재 “야당의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계엄령 요건 될 수 없어”
2025-04-04 16:47:39베스핀글로벌, 지난해 연결 흑자 달성…‘AI MSP’ 전환 본격화
2025-04-04 16:3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