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 퇴근길] ‘아이폰14’ 마침내 한국 온다…내달 7일 상륙
디지털데일리가 퇴근 즈음해서 읽을 수 있는 [DD퇴근길]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혹시 오늘 디지털데일리 기사를 놓치지는 않으셨나요? 퇴근 앞두고 저희가 요약 정리한 주요 기사를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기사는 ‘디지털데일리 기사 하단의 관련뉴스(아웃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14 시리즈'는 9월30일부터 사전예약을 받고 10월7일부터 판매됩니다. 애플스토어와 애플스토어 애플리케이션(앱), 공인 리셀러, 지정 통신사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제품 가격은 128기가바이트(GB) 기준 ▲아이폰14 125만원 ▲아이폰14플러스 135만원 ▲아이폰14프로 155만원 ▲아이폰14프로맥스 175만원입니다. 애플은 미국 출고가는 동결했지만 국내는 환율 등 영향으로 가격이 올라 프로 2종의 경우 각 20만원, 26만원 인상했습니다.
▲애플워치 시리즈8 59만9000원 ▲애플워치 SE 35만9000원 ▲애플워치 울트라 114만9000원부터입니다. 애플워치 역시 기본모델 기준 전작대비 10만원 인상됐습니다. 다만 ‘에어팟프로 2세대’ 출시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UDC2022 깜짝 방문 안철수, "블록체인 사업, 국가 수출 사업으로 키울 수 있어"
국민의힘 안철수 국회의원이 블록체인 사업을 국가 단위에서 진행해 수출 사업을 키울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혀 주목됩니다. 23일 UDC2022 현장에 깜짝 방문한 안 의원은 "처음에는 부산시, 그 다음에는 부울경 메가시티, 이후 국내 전역으로 블록체인 사업을 확대할 수 있다"라며 "부산은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돼 있어 선도도시로 지원할 생각"이라고 언급했는데요. 이 날 안 의원은 부산항 북향통합 개발 추진단에 들러 의견을 공유한 후, UDC 행사장을 방문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그는 우선 한국이 블록체인 선진국이 되기 위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로써 입지를 다져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안 의원은 "정부와 부처 간 자유로운 자료 교환과 국가 보안과 관련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공공데이터 민간 개방을 적극적으로 해야한다"라며 "공공데이터가 기반돼야 민간데이터가 위에 올라오면서 데이터 산업이 발전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토대 위에 블록체인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네요.
그는 "예컨대 현재의 의료시스템은 중앙 병원이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구조"라며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면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그 데이터의 주인은 환자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 기관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한데 모을 수 있어 환자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전했는데요. 또 비단 의료부문뿐만 아니라 식품과 유통 관리 부분에서도 활용도가 굉장히 클 것으로 내다봤네요.
스마트폰, 위성통신 경쟁 '점화'…애플·구글·화웨이 '각축'
스마트폰에 인공위성을 활용한 위성통신 기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위성통신 기능이란 신호가 잘 잡히지 않거나 기지국이 아예 없는 장소에서 통화가 문자를 할 수 있는 것을 뜻하는데요. 저궤도 인공위성을 활용해 섬이나 오지, 비상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화웨이 애플이 위성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구글도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화웨이는 이달 초 선보인 ‘메이트50’ ‘메이트50프로’에, 중국 내에서 상용되는 위성항법시스템(GPS) ‘베이더우’를 기반으로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애플은 미국 위성통신 기업 글로벌스타와 손잡고 ‘아이폰14 시리즈’에 위성을 활용한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오는 11월 미국과 캐나다에서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다만 위성통신 기능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통신사 등이 한정됐다는 한계도 있는데요. 화웨이는 중국 내에서만 위성 통신 기능을 쓸 수 있고 애플은 미국과 캐나다 이외 지역에서는 출시 계획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국내의 경우는 위성 수가 부족하다는 점이 걸림돌로 지목됩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의 경우 2000개 이상 통신위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한국은 20개 이하의 위성만 운용 중이거든요.‘
검찰, 종편 재승인 심사위원·방통위 압수수색
검찰이 TV조선 등 종합편성채널·보도전문채널 재승인 심사 조사 의혹과 관련해 심사위원 자택과 방송통신위원회에 압수수색을 시작했습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 형사5부는 23일 경기 과천시 방통위 청사와 심사위원 사무실 등에 수사관들을 보내 관련 증거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앞서 감사원은 종편 재승인 심사위원 일부가 TV조선과 채널A에 대한 심사점수를 일부러 낮게 줬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감사자료를 검찰에 넘긴 바 있습니다. TV조선은 지난 2020년 심사에서 총점 653.39점으로 기준을 넘었으나 중점 심사 사항인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의 실현 가능성과 지역·사회·문화적 필요성' 항목에서 210점 만점에 104.15점을 받아 50%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국감 앞둔 유통 플랫폼…컬리에 머·트·발도 긴장
다음 달 4일부터 열리는 국정감사를 앞두고 유통 플랫폼 기업들이 소상공인 상생 및 소비자 보호 방안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국회상임위원회가 플랫폼 기업 공세를 예고하며 지난해 ‘플랫폼 국감’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죠. 올해는 네이버·쿠팡과 같은 대형 플랫폼은 물론 컬리와 명품 플랫폼 3사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입니다.
23일 국회에 따르면 정무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등 복수 상임위가 유통 플랫폼 기업들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플랫폼 기업 특성상 소상공인 골목상권 침해 및 소비자 대상 갑질, 노동 이슈 등 여러 분야에서 제기된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죠. 오는 26~27일 각 상임위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증인을 확정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선 골목상권 침해와 문어발식 경영 논란 등으로 네이버·카카오·쿠팡 등 대형 플랫폼 기업 경영진들이 연이어 증인으로 출석한 바 있습니다. 올해 달라진 건 온라인 장보기·명품 커머스 등 코로나19 기간 급성장한 버티컬 커머스가 국회에서도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명품 플랫폼 3사로 대표되는 머스트잇·트렌비·발란 대표들이 국감장에 들어서게 될지도 업계 관심사입니다. 이들 3사 지난해 합산 거래액은 1조를 넘어섰지만 이에 따른 소비자 상담 건수는 2019년 100여건에서 올해 1200여건으로 급격히 늘었거든요. 상반기만 해도 가품 문제와 소비자에게 불리한 청약철회, 법에 어긋나는 이용 약관 등을 지적받은 바 있답니다.
퓨어스토리지, 2025년도 AI로 달린다…“기업용 AI 데이터 플랫폼 강화 집중”
2024-12-20 14:39:08삼성 메모리 성과급 200%, DS는 격려금 200만원…생활가전은 25%
2024-12-20 14:38:44넷플릭스, SBS 손 잡고 K-콘텐츠 확대…"신작 글로벌 동시공개"
2024-12-20 14:37:42美 TIME지가 선정한 K-콘텐츠 10선, 절반이 '이곳'에서?
2024-12-20 14:37:20우리금융, 고강도 인적쇄신… 임기만료 자회사 대표 6명 전원 교체
2024-12-20 14:3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