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반도체 100조원 시대 온다…韓 소부장 '미소'
- 내연기관차→전기차·자율주행차 전환으로 수요 증가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코로나19 국면만큼이나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도 장기화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향후 일부 제품은 완화될 수는 있겠으나 전반적인 추세는 2~3년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제조사는 물론 관련 소재 업체에도 긍정적이다.
15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2022년 차량용 반도체 시장 성장률은 17.8%로 전망된다. 부족 사태가 심화한 지난해(24.6%)를 기점으로 성장세가 뚜렷하다. 옴디아는 2023년 11.3%, 2024년 13.4%, 2025년 12.9% 등으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당 시장 규모는 지난해 59조원으로 추정된다. 오는 2025년에는 10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러한 추세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반도체가 확대된 영향이다. 기존 내연기관차는 200~300개 반도체가 투입됐다면 하이브리드차는 500~700개, 전기차는 1000개 이상이다. 자율주행 시대로 가면 수천 개로 늘어난다.
차량용 반도체 종류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엔진컨트롤유닛(ECU) ▲전력관리칩(PMIC)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 ▲전장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과 이들 제품을 보조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IC) 및 각종 센서 등이 있다.
자동차 산업 특성상 진입장벽이 높고 개발 기간과 비용 대비 수익 나지 않아 그동안 국내 업체는 차량용 반도체에 공을 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시장 자체가 커지는 데다 공급난 여파로 차량 제조사가 협력사 다변화에 나서면서 한국 기업에 기회가 생기고 있다.
KB국민은행, 7억 달러 규모 선순위 글로벌 채권 발행… "밸류업 성과"
2025-04-29 11:45:36캐치테이블, 권재홍 전 배민 COO 영입…“요식업 슈퍼플랫폼 도약 본격화”
2025-04-29 10:46:23SKT, 황금연휴 앞두고 비상…유심보호서비스 2.0 나온다
2025-04-29 10:45:09“SKT 해킹, 9.7GB 유출 가능성”…정보보호인증 제도 실효성 지적도
2025-04-29 10:4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