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6G·오픈랜·UAM 등 39개 ICT 표준화 포럼 지원
올해는 글로벌 기술패권경쟁 상황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인공지능(AI), 이동통신, 사이버보안, 양자암호통신 등 국가필수전략기술 분야 전문가 105명을 포함해 총 298명의 전문가를 지원대상자로 선정했다.
또한 민간의 정보통신 분야 표준화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39개의 표준화 포럼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엔 국제 사실표준화기구에 182여건 국내기술 표준을 제안했으며 222건의 포럼표준을 개발해 71건을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하는 성과를 창출했다.
올해에는 ‘지능정보기술포럼’, ‘미래양자융합포럼’ 등 33개 표준화 포럼을 계속 지원하는 한편 국가필수전략기술 분야 또는 디지털 기술 기반 산업혁신이 예상되는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6세대(6G) 이동통신 포럼’, ‘오픈랜포럼’, ‘도심항공교통(UAM) 포럼’, ‘의료인공지능포럼’ 등 6개 포럼을 신규로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 정보통신 표준전문가들이 국제 표준화 현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기업들의 표준화 활동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계속 먹통 원인 모른다는 키움증권… 금감원 검사 들어가나
2025-04-06 10:10:40[DD 주간브리핑] 삼성·LG전자 잠정실적 발표…정부, 美 자동차 관세 대응
2025-04-06 10:00:00통합만 해왔던 미디어+ICT 거버넌스, 올바른 개편 방향은? [IT클로즈업]
2025-04-06 07:00:00머스크의 스페이스X, 8.6조원 규모 美 국방부 위성 사업 수주
2025-04-05 12:4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