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KT, '패스' 인증서로 공인인증서 대체
전자서명인증사업자는 국내 인증사업 추진을 위한 필수 법적지위로, 지난해 12월 공인인증서 폐지 이후 각 기업 및 기관이 내놓은 전자서명인증 수단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도입됐다.
전자서명인증사업자로 선정됨에 따라 KT와 SK텔레콤은 앞으로 패스(PASS) 인증서를 통해 기존 공인인증서의 인증 기능을 대부분 대체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또, 향후 제공할 마이데이터 사업의 주요 인증 수단으로 패스 인증서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세청, 정부24, 국민비서 등 주요 정부사이트 내 인증수단 제공을 제공하는 행정안전부 인증사업 시범사업자 지위를 유지하는 등 전자서명확산과 이용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이밖에 다양한 금융서비스에서도 간편인증서를 통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현재 패스 인증서는 패스 앱을 통해 약관동의와 신원확인 절차를 거치면 간단히 발급받을 수 있다
이미 패스 인증서는 안정성과 편의성, 편의성 및 휴대전화 2단계 인증으로 높은 보안성을 인정받아 통신 3사 합산 현재 3200만건(11월 말 기준)이 발급돼 공공과 금융기관, 핀테크 업계의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의 경우, 내년 중 독자적으로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할 계획이다.
[일문일답]KT “미디어사업, 매출 5조원 목표보단 전략수정 시급”...AI로 승부수
2025-04-16 13:09:051분기 공포의 증시 변동성에도 ‘에임’ 성적표는 플러스… "AI기반 자산관리 성과"
2025-04-16 11:33:06아이티센코어-맥케이, 영상 AI 솔루션 고도화 ‘맞손’
2025-04-16 11:13:23LG CNS, 미래에셋증권 AIOps 완수…금융권 AX 시장 주도권 확보
2025-04-16 11:00:00현대오토에버 ‘차세대 내비’, 고객중심 UI로 서울모빌리티어워드 최우수상
2025-04-16 10: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