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KT, '패스' 인증서로 공인인증서 대체
전자서명인증사업자는 국내 인증사업 추진을 위한 필수 법적지위로, 지난해 12월 공인인증서 폐지 이후 각 기업 및 기관이 내놓은 전자서명인증 수단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도입됐다.
전자서명인증사업자로 선정됨에 따라 KT와 SK텔레콤은 앞으로 패스(PASS) 인증서를 통해 기존 공인인증서의 인증 기능을 대부분 대체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또, 향후 제공할 마이데이터 사업의 주요 인증 수단으로 패스 인증서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세청, 정부24, 국민비서 등 주요 정부사이트 내 인증수단 제공을 제공하는 행정안전부 인증사업 시범사업자 지위를 유지하는 등 전자서명확산과 이용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이밖에 다양한 금융서비스에서도 간편인증서를 통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현재 패스 인증서는 패스 앱을 통해 약관동의와 신원확인 절차를 거치면 간단히 발급받을 수 있다
이미 패스 인증서는 안정성과 편의성, 편의성 및 휴대전화 2단계 인증으로 높은 보안성을 인정받아 통신 3사 합산 현재 3200만건(11월 말 기준)이 발급돼 공공과 금융기관, 핀테크 업계의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의 경우, 내년 중 독자적으로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할 계획이다.
김병환 "대출금리 내릴 때 됐다"… '이자장사' 논란 은행권 직격
2025-02-24 15:13:55동양생명 실적 좋았지만 건전성 지표 하락… M&A 앞둔 우리금융, 개운치않은 '뒷맛'
2025-02-24 15:01:42삼성전자 노사,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임금 5.1% 인상·성과급 TF 운영
2025-02-24 15:01:41코오롱베니트 “제조DX는 어렵다? ‘데이터’로 한계 극복…대외사업 공략 박차”
2025-02-24 14:5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