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블록체인] 전 세계 NFT·메타버스 열풍 여전…국내는 과세 논란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한 주간 블록체인‧가상자산 업계 소식을 소개하는 ‘주간 블록체인’입니다.
남아프리카에서 발원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면서 증시와 비트코인(BTC) 가격이 일제히 하락세입니다.
비트코인 하락으로 대부분의 알트코인들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번주 전체를 기준으로 보면 역시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및 메타버스 관련 코인들의 강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더 샌드박스’의 토큰 샌드(SAND), ‘디센트럴랜드’의 토큰 마나(MANA)는 한 주간 각각 54%, 13% 상승했습니다. 샌드는 업비트에서도 줄곧 거래량 1위를 차지하는 등 큰 관심을 모았는데요. 더 샌드박스와 디센트럴랜드 모두 NFT가 활발히 활용되는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입니다. 업비트에선 샌드였다면, 빗썸에선 위믹스였습니다. 국내 코인 중 NFT 관련 코인의 대표 사례인 위믹스가 줄곧 빗썸에서 거래량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처럼 전 세계적 NFT 열풍은 좀처럼 식지 않고 있는데요. 동시에 우리나라에서는 NFT에 대한 과세 가능성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습니다. NFT와 더불어 내년 1월로 정해진 가상자산 과세 시점을 유예할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는데요. 과세 유예에 여야가 합의한 상황이라 투자자들의 걱정이 다소 완화될 전망입니다.
이번주 <주간 블록체인>에서는 ‘더 샌드박스’를 필두로 한 세계적 NFT 열풍을 재차 짚어보고, 지속 가능한 NFT 시장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이어 과세로 떠들썩한 국내 가상자산 시장도 함께 조명해보겠습니다.
◆‘한 주간 50% ↑’ 전 세계적 NFT 열풍…국내 상황은?
전 세계적 NFT 열풍은 좀처럼 식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더 샌드박스, 디센트럴랜드 등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들이 특히 주목받았는데요. 더 샌드박스는 4년 여의 개발 끝에 오는 29일 일반 사용자들에게 메타버스를 오픈합니다.
이 소식과 전 세계적 NFT 열풍이 맞물려 더 샌드박스의 샌드(SAND) 토큰은 한 주간 50% 이상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현재는 7900원 정도로 하락했지만, 한때 업비트에선 1만원대에서 거래되기도 했고요. 샌드 토큰은 더 샌드박스 메타버스 내에서 쓰이는 기축통화이자, 일반 가상자산입니다.
더 샌드박스 내 NFT는 샌드 토큰보다 더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더 샌드박스 메타버스 안에는 가상 부동산이자 NFT인 ‘랜드(LAND)’가 존재하는데요. 2019년 말 기준 랜드 1x1 사이즈의 판매 가격은 48달러(5만 7000원) 정도 였으나, 현재는 3ETH(이더리움)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28일 기준 1ETH 가격이 500만원 선이므로 약 1500만원에 팔리는 셈이죠. 현실 세계로 따지면 일부 수도권, 지방 지역의 아파트 평당 가격과 맞먹습니다.
이처럼 더 샌드박스가 열풍 반열에 오른 데에는 장기간 동안 구축해온 커뮤니티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019년부터 랜드 판매를 진행하면서 커뮤니티가 커졌고요. 회사 측이 주도적으로 크리에이터를 선발, 해당 크리에이터들이 메타버스 내 콘텐츠를 미리 제작해둘 수 있도록 물질적으로 지원하면서 커뮤니티를 키웠습니다.
NFT 시장이 지속 가능하려면 단순히 NFT를 사고파는 것 이상의 선순환 구조가 필요합니다. 구매자는 메타버스 같은 공간에서 NFT를 활용하고, 판매자는 NFT를 통해 원본을 증명함은 물론 2차 거래 시 개런티를 받을 수 있어야 하죠. 전자의 경우에는 NFT 프로젝트들을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고요. 후자의 경우에는 NFT 시장에 진입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늘고 시장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특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구축된 NFT 커뮤니티가 드문 상황입니다. 즉, 전자의 경우는 아직 드뭅니다. 국내 코인 중 대표적인 NFT 관련 코인으로는 위메이드의 가상자산 위믹스(WEMIX)가 있는데요. 위믹스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늘었지만, 위믹스가 쓰이고 게임 아이템이 NFT화된 ‘미르4’ 게임은 정작 국내에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NFT 시장에 진입하는 크리에이터들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보입니다. 즉, 후자의 경우는 서서히 나오고 있는데요.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NFT 플랫폼을 출시했으므로 이 같은 현상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업비트는 지난 23일 NFT 거래 플랫폼 ‘업비트 NFT’ 베타 버전을 공개했는데요. 기존에는 수백만원대에 작품을 판매하던 아티스트가 작품 가격을 수억원대로 올린 사례가 나왔습니다.
‘업비트 NFT’에서 경매에 부쳐진 장콸(Jangkoal)의 ‘Mirage cat 3’작품은 3.5BTC(당시 기준 약 2억 4000만원)에 낙찰됐습니다. 장콸 아티스트의 기존 실물 작품들은 3~400만원대에서 거래됐는데요. 지난해 아티스트가 연 개인전 ‘My cup of tea’에선 주로 100만원대부터 400만원대 사이의 작품들이 판매됐습니다.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