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삼성 세 번 부르더니"…美, 반도체 투자 이어 기밀정보 요구 [IT클로즈업]

김도현
- 반도체 부족 사태 여전…현상 파악 나선 바이든 행정부
- 난감한 반도체 기업…“재고 공개는 민감한 사안”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반도체 패권을 잡으려는 미국이 기업들에 또 하나의 과제를 냈다. 반도체 재고 등 영업비밀 공개를 요구했다. 명분은 반도체 공급난 해소다. 업계는 난처한 상황이다. 민감한 내용인 만큼 공유하고 싶지 않으나 미국이 으름장을 놓은 탓이다.

23일(현지시각) 미국 백악관은 올해 들어 세 번째 ‘반도체 회의’를 온라인 개최했다. 삼성전자 인텔 TSMC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의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과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주재했다. 앞선 두 차례 논의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부족 및 병목 현상에 따른 수급 전망 등이 안건으로 올랐다.

가장 주목할 점은 미국 상무부의 지시사항이다. 이날 참여 기업은 ‘45일 내로 반도체 재고와 주문, 판매 등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러몬도 장관은 “투명성 제고 차원에서 정보 제공을 요청했다. 병목 현상이 어디서 발생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라며 “반도체 부족 사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공격적인 움직임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반도체 제조사와 관련 업체들은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제품 재고 등은 사업 전략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보다. 소수 기업이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투자자 정보 제공 차원에서 일부만 드러낼 정도다. 공식적으로 공개하는 데 부담스럽다는 의미다.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사업장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사업장
‘자발적’이라는 표현을 명시했으나 업계에서는 사실상 반강제라는 평가가 나온다. 상무부에서 협조하지 않을 시 수단이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국방물자생산법(DPA)을 동원해 관련 정보 제공을 강제할 것으로 보고 있다.

DPA는 지난 1950년 6·25 전쟁 당시 제정된 미국 법률이다. 국가 비상사태 시 연방 정부에 주요 산업 통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골자다. 앞서 코로나19 백신 제조 독려 과정에서 DPA가 활용된 바 있다. 미국이 무리하게 강행하겠냐는 의견도 나오지만 기업들이 부담을 느끼는 건 사실이다.

현재 미국은 반도체 생산거점을 자국으로 옮기는 ‘기업 본국 회귀(리쇼어링)’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이어진 기조다. 아시아에 집중된 반도체 공장을 미국에 구축하겠다는 의지다.

미국은 애플 퀄컴 AMD 엔비디아 등 글로벌 반도체 설계(팹리스) 회사가 즐비한 나라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아마존웹서비스(AWS) MS 구글 IBM 등까지 자체 칩 개발에 뛰어들면서 수요 기업은 더 늘었다. 반도체 제조사가 미국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현지 업체인 인텔과 마이크론은 물론 삼성전자 TSMC 등이 미국 투자를 진행 또는 준비하는 이유다.

이번 요청도 같은 맥락이다. 반도체 공급망 파악을 통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완성차업계 반도체 부족 사태가 계속되는 가운데 GM 등 미국 기업에 반도체 공급을 우선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실화하면 현대차 등 다른 나라 업체들이 간접적인 피해를 볼 수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당장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지만 향후 또 다른 요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반도체 기업들에 추가 투자를 압박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 이는 국내외 균형적인 증설을 준비 중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긍정적인 소식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