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핀테크 기업, 신남방 국가로 진출 가능할까
[디지털데일리 강민혜 기자] 이충열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교수가 한국 핀테크 기업의 신남방 국가 진출 가능성을 진단했다.
26일 이충열 교수는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Korea Fintech Week 2021) '핀테크 산업 신남방 및 신북방 국가들 진출 방안' 세션에 참석, '신남방지역 주요국의 핀테크 현황과 한국기업의 진출 방안: 인도·필리핀·태국·말레이시아·베트남·미얀마·인도네시아 중심' 연사로 나섰다.
◆ 아세안 10개국+인도가 한국 핀테크 기업 잠재 시장인 이유는
이 교수는 한국-아세안, 한국-인도 간 무역 협정이 각각 공고히 성장해온 점을 탄탄한 사업 배경 이유로 들었다. 지난 2007년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됐고 한·인도는 2010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체결했다.
이 교수는 "아세안 10개국과 인도는 지난 30년간 높고 안정적인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며 "신남방국가는 한국이 단계적 발전을 해온 것과 달리 저소득 국가·고소득 국가가 함께 존재하므로 시대별 발전상이 한 번에 이뤄진다는 특징이 있다는 걸 감안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2G폰·5G폰을 사용하는 사람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련 서비스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은행기관의 핀테크 결제 서비스는 일찍이 도입, 상당 부분 활성화됐기 때문에 관련 업계 생태계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발언도 덧붙였다.
◆ 신남방 국가 핀테크 활용 수준 파악해야
이 교수에 따르면, 신남방 각국의 핀테크 활용 정도는 크게 차이를 보인다. 핀테크 산업에서 외국 기관과 현지 기관과의 협력도 다양하다. 핀테크 업계 특성상 이에 따라 얽혀 있는 기관이 많아 정부 정책도 다양하다.
다만 최근 규제·감독을 개선하고 있지만 수준이 낮고 신남방 국가들간의 범국가적인 규율 제도가 구축돼 있지 않다는 게 이 교수의 지적이다. 각국의 금융감독기관은 외국계 금융기관의 진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갖고 있고 또 업종마다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인도 등은 규제 샌드박스를 시행 중이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은 디지털 경제 구축을 위한 장기 계획·단기 정책을 추진 중이다.
◆ 진입 장벽은 어떨까
이 교수는 신남방 국가들이 외국 기업과 협력해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일부 배타적인 경우도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한국 기업의 신남방 국가로의 핀테크 진출을 위한 확인 3단계는 ▲금융 준비 여부 ▲ICT 인프라 존재 여부 ▲핀테크 활용 사업 활황 여부다.
지난 2019년 금융 준비 제도 지수 기준으로 한국 환경과 가장 비슷한 나라는 ▲말레이시아 ▲태국이다. ▲베트남 ▲인도네시아는 한국과 격차가 크다. 쉽게 말해 금융 제도 서비스가 덜 마련됐다는 얘기다.
ICT 인프라 존재 여부를 보면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이 한국과 비슷하게 상당 수준 올라왔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말레이시아는 한국과 큰 차이가 없는 편에 속하고 특히 베트남이 성장폭이 눈여겨볼 만하다는 후문이다.
마지막 종합 지수서는 말레이시아가 상당 수준 따라왔다. ▲태국 ▲베트남이 그 뒤를 잇고 ▲인도 ▲인도네시아가 낮은 수준이다.
◆ 한국 기업, 어떻게 진출하면 좋을까
이 교수는 한국 기업의 진출에는 몇 가지 조건이 있다고 꼽았다.
이 교수는 ▲핀테크 서비스의 현지 경제 수준 적합성 ▲현지 인프라 활용 가능성 ▲현지 금융·통신 규제·소비자 보호 등 법·규제 준수 ▲장기·단기 수익 보장 전략 확보 가능성 등을 기반으로 사업 측면과 공공서비스 모두를 만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사용자 ▲인프라 관련 협력 또는 경쟁사 ▲독자 법인 혹은 현지 합작 여부 ▲업무 협약 혹은 지분 투자 결정 여부 등의 방식도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고 말한다.
▲진출 서비스의 유무선 여부 ▲지급 결제·보안·기타 프로그램 제공 방식 선택 ▲소득·인터넷 수준도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해다.
◆ 한국 정부, 핀테크 기업 진출 도울 수 있나
이 교수는 "정부가 기업을 도울 수 있는 부분은 제한적"이라면서도 "한국 정부의 지원 여부도 핀테크 기업이 신남방 국가로의 진출시 확인해야 할 요소"라 언급했다.
지원시점별로는 ▲현지 진출을 준비하는 단계 ▲현지 기업과의 접촉 단계 ▲사업 착수 후 단계 등 3단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구체 지원책으로는 ▲기업 역량 강화 ▲현지 기업과의 이해 및 관계 증진 ▲접촉 지원 ▲진출 기업에 대한 지원 ▲플랫폼 구축 등 각종 사업 지원 ▲컨설팅 서비스 등이 있다.
"이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기관이 이런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코트라, 한국핀테크지원센터 등 관련 기관의 정책을 잘 살펴보길 바란다.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많이 진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민혜 기자> mineral@ddaily.co.kr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