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지방세 체납서비스를 분석해 체납자별로 납부 가능성을 예측하고 체납 유형별 맞춤형 징수활동을 지원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세무행정 서비스가 시동을 건다.
19일 행정안전부는 차세대 지방세시스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경기도와 협업해 빅데이터 기반 지방세 체납회수율 예측모델을 만든다고 밝혔다. 지자체별 체납징수계획, 체납안내, 현장조사 및 징수활동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그간 세무공무원은 체납관리를 위해 체납자별 200여종의 정보를 수작업으로 확인해야 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경기도 31개 시군의 과거 5년간 체납자료를 분석하고 체납자별 채납회수율예측과 분석보고서를 생성해 체납유형별 맞춤형 징수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2020년 2월 기준 경기도 체납 166만건을 대상으로 체납회수율 예측 모델에 적용해 분석한 결과 단기체납(1년 이내)은 166만건 중 92만건(55.3%)이 대상이다. 6개월 내 체납회수율은 53.2%로 예측됐다.
분석보고서는 세무공무원이 체납 활동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체납자별 재산, 소득, 신용등급 등 47개 항목을 담고 있다. 체납 회수율 예측모델에서 자동 생성한다.
향후 시범서비스 대상 지자체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해 체납회수율 예측모델의 정확도를 높여 2022년 2월까지 전국 서비스로 확대할 계획이다.
고규창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데이터 중심의 과학적 세무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앞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 과제를 발굴하겠다”며 “지방재정에 파급효과가 큰 과제부터 단계적으로 분석해 지방세무행정의 신뢰도를 높일 것”이라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