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IT

대권주자 이미지에 가려졌지만…박원순 시장, 서울 ICT혁신에 수많은 성과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의 사망이 경찰에 의해 10일 공식 발표됐다. 가족에 의해 경찰에 실종신고가 접수된지 7시간만인 10일 오전 0시1분쯤 북악산 숙정문 인근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공식 사인은 발표되지않은 상황이며, 시신은 이날 오전 서울대병원에 옮겨져 영안실에 안치됐다.

박원순 시장의 남은 임기는 2년이었으며 현재 시 행정은 내년 4월 재보궐 선거까지 9개월간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9년간 서울 ICT 혁신에 큰 업적

고인이 된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9년간 서울 시정에 쏟아왔던 과감한 혁신사업과 성과들은 과소평가된 측면이 있다. 그동안 언론들에 의해 ‘대권 주자’로만 너무 각인된 탓이다. 그가 펼쳤던 몇몇 혁신 사업들은 보수 야당과 언론들에 의해 정치적 해석이 덧칠되면서 평가 절하되기도 했다.

전임 시장들처럼 대규모 토목 공사가 아닌 소프트웨어(SW)적인 혁신 사업으로 서울의 체질을 미래 지향적 문화도시, 친환경 생태도시로 바꾸려 노력한 꾸준한 정책 방향과 성과들은 높게 평가받아야할 부분이다.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져있지는 않았지만 박원순 시장은 '팀장형 시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서울시의 중요 정책들을 매우 꼼꼼히 들여다보는 업무 스타일이다. 이 때문에 혁신 사업과 관련한 성과물들이 적지 않았다.

특히 박 시장은 서울 시정의 IT선진화에 상당한 공을 들여왔다. 또 청년창업센터 등 IT스타트업 육성에도 많은 열정을 쏟았다.

이런 노력으로, 서울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국제행사인 ‘2019 스마트시티 엑스포 세계대회’(SCEWC, 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에서 도시 분야 본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으로 역량을 인정 받아왔다.

여기에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 스마트 서울 도시데이터 센서(S-Dot), 스마트 빅데이터 저장소(S-Data) 등 미래 스마트시티의 기반이 될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 2015년 12월 서울시 ‘디지털기본계획 2020’을 통해 디지털 시정 및 초연결도시 등의 복지, 교통, 안전, 환경 등에 선제적 디지털 기술 적용을 본격화해왔다. 디지털기본계획 2020은 올해 마무리되며 올해 말 2025년을 준비하는 정보화기획이 예정돼 있는 상황이다.

박원순 시장은 구체적 실행을 위해 ICT업계와의 만남도 지속적으로 가져왔다. 2016년에는 국내외에서 내로라하는 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인텔을 비롯해 KT·네이버·카카오 등 기업 관계자와 디지털 전략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고 사물인터넷(IoT) 실제 도입 등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앞서 대기업의 공공사업 참여를 처음으로 허용한 서울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사업, 블록체인 기반 미래도시 설계 사업 및 시범사업, 교통 분야의 빅데이터 도입을 통한 교통흐름 개선 사업 등 다양한 ICT 신기술 과제를 선도적으로 진행하기도 했다.

◆스타트업 육성, 청년 실업 해소에 노력

박원순 시장은 스타트업 육성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6년 강남·송파·용산·마포 등에 2만 7606㎡ 규모의 창업 지원 공간을 마련해 400개 가까운 창업팀을 입주시켰다. 해외 유수의 전시회 등에 참여해 국내 기업 및 공간들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한편 박원순 시장은 ‘금융’ 분야에 대해서도 지대한 관심을 보여왔다. 박 시장은 여의도 제2 핀테크랩 오픈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해 핀테크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금융 분야 전문 인재 육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서울’의 금융 산업 경쟁력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한바 있다.

실제 서울시는 8월 여의도에 제2의 핀테크랩을 오픈하기도 한다. 약 1000㎡ 규모로 금융기업과 금융산업 인재가 밀집된 여의도에 조성해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핀테크 분야의 성장기업을 대상으로 입주공간을 제공하고 글로벌 네트워킹을 통한 투자유치 및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해외 금융사를 서울로 유치하기 위해 초기 사무공간과 네트워킹도 지원한다.

◆뚝심있게 밀어부친 '제로페이'....코로나19 재난지원금 결제에 큰 역할

박원순 시장이 적극 추진해 시장에 보급된 ‘제로페이’ 사업도 박원순 시장의 추진력이 아니었으면궤도에 오르지 못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초기에는 제로페이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공격을 많이 받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큰 효과를 보았으며, QR결제의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2018년 3선 시장에 도전하면서 내세운 공약이었던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서울페이’가 제로페이의 시발점이다. 박원순 시장은 핀테크 기술을 이용해 자영업자가 부담해온 수수료를 거의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획기적으로 낮추겠다는 복안을 밝힌바 있다.

이후 정치권과 지자체의 호응이 이어지면서 행안부, 금융위, 지자체 등이 제로페이 도입을 위한 민관 합동 TF를 구성하며 제로페이가 본격 출범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결제 선호와 서울사랑상품권 할인율 확대, 재난긴급생활비 지급 수단으로 활용됐다. 현재 제로페이 가맹 신청 수는 3월 8만5000건, 4월 5만9000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현재 제로페이 가맹점은 53만여개에 달한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