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MIT와 손잡고 혁신기술 교류 확대
효성은 MIT 교수진과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 6곳이 지난 29일 효성 마포 본사를 방문해 ‘MIT ILP(산학연계프로그램)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MIT에서는 재료과학공학부 폴리나 아니키바 교수,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 교수가 강연자로 참석했다. 효성에서는 특허, 중합연구, 전략 실무진이 참석해 효성의 원천기술과 MIT의 혁신기술 융합을 통한 성장동력을 모색했다.
지난해 효성티앤씨는 IT전문계열사 효성ITX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스마트 센서 등 ICT 기술을 접목, 제조공정의 품질 결함을 즉각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효성중공업에서도 IT 기술을 접목한 변전소 자산관리솔루션(AHMS)을 개발하고 빅데이터 기술로 설비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포착할 수 있다.
MIT ILP는 글로벌 기업들과 MIT 연구진이 비즈니스 협력 관계로 상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MIT는 참여 기업에게 정보통신기술(ICT), 신소재, 첨단제조,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 및 연구 결과 등을 소개한다. 기업은 MIT의 연구진과 지속적인 기술 및 정보를 교류한다. 현재 한국기업으로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그룹, 두산중공업, 삼양그룹 등이 ILP에 참여하고 있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향후 세계 최고 석학과 연구진들과 정기적인 세미나를 개최함해 트렌드를 앞서나갈 수 있는 기술 교류를 지속할 것이며, 효성 원천기술과의 협업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홍하나 기자>hhn0626@ddaily.co.kr
IBK기업은행, 부당대출 은폐 의혹 논란… CEO 제재 첫 사례될까 '촉각'
2025-02-25 11:28:09고려아연, 2025년 제1차 '지속가능경영추진위' 개최
2025-02-25 11:22:21네이버페이, 농협은행과 맞손…"디지털 금융 생태계 확장"
2025-02-25 11:02:56해빗팩토리, 미국 법인 설립 3년 만에 누적 대출액 1526억…"고객 이자비용 104억 절감"
2025-02-25 11: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