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이번에도 ‘시너지’…조직간 한계 돌파될까?
정 사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측근이고 사업지원 T/F의 역할이 각 회사‧사업 사이의 공통된 이슈에 대한 대응과 협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그룹 컨트롤타워를 신설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
미래전략실의 역할을 고려했을 때 사업지원 T/F는 사업조정과 함께 삼성전자는 물론 관련 계열사를 맡는 씽크탱크(Think tank)를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정 사장이 모든 업무를 담당할 수는 없기 때문에 미래전략실의 임원을 복귀시켜 업무를 맡길 것으로 관측된다. 임원 인사와 조직개편 과정에서 뚜렷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사업지원 T/F가 미래전략실의 작은(?) 분신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미래전략실은 사업의 구조조정부터 시작해 그룹의 기획, 금융, 감사, 법무, 인사, 홍보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했다. 사업지원 T/F의 목적, 미래전략실이 해체된 원인, 이재용 부회장은 물론 미래전략실 최지성 실장(부회장)과 장충기 차장(사장)이 구속된 상태에서 과도한 이목을 끌 필요가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참 (이재용 부회장) 재판이 진행되고 있는데 미래전략실을 굳이 끄집어내는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말 그대로 사업에 관련된 부분에서만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고 전했다.
◆세트제품은 CE부문이 간판=삼성 리서치는 어떨까. 과거 삼성전자는 권오현, 윤부근, 신종균의 각자대표 체제를 구축하면서 비슷한 조직을 만들었다. ‘에코시스템 인티그레이션팀’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의미 있는 성과는 만들어내지 못했고 콘텐츠와 소프트웨어(S/W)를 담당하던 미디어솔루션센터(MSC), 완제품 사업을 총괄하는 정보미디어(DMC)연구소는 소수의 인력만 남기고 각 사업부로 나눠서 배치시켰다.
과거 CE부문과 IM부문은 윤부근, 신종균 대표가 맡아서 운영할 때부터 시너지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많았다. 각 제품을 하나로 묶어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솔루션을 뿌려 막강한 파급력을 기대했으나 R&D나 기획 단계에서 실무자 사이의 소통이 원활치 못했다. 에코시스템 인티그레이션팀은 예산 및 조직운영에 있어 자율권과 독립성을 부여함으로써 사업부간 벽을 깨고 광범위한 협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으나 뚜렷한 색깔을 내지 못했다.
서로 협업해 시너지가 잘 나는지 살펴보는 첫 관문은 개발자 행사다. 과연 삼성전자가 사업부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조직간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발달장애 편견없는 세상 만드는 데 동참"
2025-04-17 17:32:41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