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 ‘인디 게임’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최근 국내 게임업계에 ‘인디 게임’을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잇따라 주목된다.
얼마 전 넥스트플로어의 사내 독립 스튜디오인 지하연구소에서 내놓은 모바일 리듬게임이 주목받았다. ‘프로토콜:하이퍼스페이스 다이버’라는 다소 긴 이름을 지닌 1인 개발자 게임이다. 넥스트플로어가 창작 활동을 지원한 끝에 빛을 보게 됐다. 게임 자체만 보면 충분히 인디스럽다는 게 시장의 판단이다. 참신하다는 평가가 눈에 띈다.
넥슨도 비슷한 시도를 한 바 있다. 자회사 네오플이 제작한 ‘애프터 디 엔드’와 ‘이블팩토리’가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확률형 게임 아이템이 아닌 유료 패키지 수익모델을 내놓는 등 기존 넥슨 게임과는 거리감이 있는 행보로 관심이 집중됐다.
구글코리아가 지난 22일 개최한 구글플레이 인디게임 페스티벌도 주목할 변화다. 구글플레이 지배력 확대를 위한 행사라고 할 수 있으나 인디 게임을 지원하겠다는 취지엔 박수를 보낼만하다. 인디 게임의 성공 사례가 늘어난다면 결국 산업 생태계가 풍성해지기 때문이다. 행사 수상작들은 글로벌 진출 시 구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오는 9월엔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개최도 확정됐다. 3회째를 맞아 좀 더 체계적이고 규모 있는 행사로 바뀌는 모습이다. 글로벌 인디 게임 시장과 네트워크를 강화하려는 주최 측의 복안이 눈길을 끌었다.
앞서 언급한 사례들은 작은 변화다. 상업적이고 판에 박은 듯한 게임으로 크게 기울어진 현 산업 생태계에서 이제야 눈에 띄기 시작한 정도다.
하지만 인디 게임이 여러 번 거론된다는 것은 산업계도 기성 게임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공감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 같은 시도와 노력이 하나둘 모인다면 작은 변화가 큰 흐름을 만들어내지 않을까 기대를 걸어본다. 인디 게임의 성공 신화로 통하는 ‘마인크래프트’가 국내에서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