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를 지키려면?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4차 산업혁명 열풍이 대한민국을 강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이 공장 등 단순노동은 물론이고 변호사, 의사, 심지어 창작의 영역인 언론(기자) 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인간의 직접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전망의 진원지는 지난해 초 열렸던 다보스 포럼이다. 클라우스 슈밥 회장은 2020년까지 AI와 로봇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일자리가 710만개 소멸되고 200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비슷한 비관론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옥스퍼드대학 칼 베네딕트 프레이(Carl Benedikt Frey)와 마이클 A. 오스본(Michael A. Osborne)은 컴퓨터의 확산 및 이용이 20년내 직업의 약 절반을 불필요하게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지나친 비관론에 몰입될 필요성이 없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13일 오후 한국언론학회가 주최한 '방송통신산업의 고용 창출을 위한 차기정부의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한 최계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 감소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는 없었다"며 "너무 부정적 전망에 휘둘릴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물론,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는 시대에는 일의 성격이 크게 변할 수 밖에 없다. 자동화의 진전으로 노동의 대체 및 보완이 수반되고 일부 직업의 경우 소멸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새로운 직업의 탄생도 예상되고 있다.
최 연구원은 "지능정보기술로 인한 자동화 및 직무변화는 직업의 대체보다는 시장의 확대를 이끌수도 있다"며 "예를 들어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서비스 자동화는 변호사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법률 자문료가 낮아지면 시장이 확대돼 고용에는 큰 변화가 없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컴퓨터 활용이 평균 이상인 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산업에 비해 고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분석도 있다.
최 연구원은 "ICT가 고용을 순창출 하느냐의 여부, 그리고 소득분배에 악영향을 미칠 것인가의 여부는 고숙련 인력과 인력간 상대적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느냐에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고용감소 유탄을 피하기 위해서는 교육시스템의 뒷받침 돼야 할 것으로 보았다.
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은 지금과는 달라질 수 밖에 없다"며 "교육시스템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최 연구원은 정부의 산업 정책도 기술혁신 추세에 맞춰 재정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선진국과 후발국가간 격차가 더욱 커질 것"이라며 "주요 기술혁신 추세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공공 연구개발 투자확대, 인재양성 등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 연구원은 "앞으로는 융합형 인재가 중용될 것"이라며 "그러한 인재를 키우는 방법은 있는 고용을 지키고 그 과정에서 재교육을 통한 시스템을 통해 대응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IT백과] 생성형AI의 진화 ‘AI 에이전트’, 기존 AI 비서와 뭐가 다를까?
2024-12-21 13:27:59[종합] AI 초격차 확보 공고히 한 오픈AI…12일간 여정 끝엔 ‘쩐의전쟁’ 남았다
2024-12-21 11:15:25오픈AI, o1보다 더 강력한 o3 예고…개발자·연구자 대상 사전 테스트 실시
2024-12-21 08: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