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10, 애플의 추격을 따돌릴까
윈도10의 핵심은 통합 플랫폼이다. MS의 모든 기기들이 윈도10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데스크톱에서 즐기던 게임을 스마트폰이나 엑스박스원(Xbox ONE) 등에서 이어갈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윈도10 통합 플랫폼이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 윈도10 전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생산성은 높아졌다는 평이 많다. 윈도 시작 버튼이 2년 만에 윈도10을 통해 귀환했다. 전작인 윈도7과 윈도8.1을 결합한 형태로 검색 기능이 강화됐다. 다만 국내에서는 로컬(내PC에 있는 파일)에 한정된다. 기본 검색엔진이 ‘빙(Bing)’이기 때문이다. 국내서 빙의 검색품질은 좋은 평을 받고 있지 못하다. 음성검색 ‘코타나’를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점도 아쉬운 부분이다.
업무효율성 향상 측면에서는 애플 도움을 많이 받았다. 새로 생긴 멀티태스킹과 멀티윈도 기능은 맥에 있는 미션컨트롤(Mission Control)을 그대로 차용해왔다. 멀티태스킹 기능은 애플리케이션간 전환을 빠르게 해준다. 작은 화면크기를 가진 기기에 적합하다. 애플은 수년 전 ‘익스포제’라는 기능으로 이를 선보인 바 있다. 작업창을 일렬 배치해 선택의 편의성을 높인 것은 윈도10만의 장점이다.
멀티윈도는 기존 바탕화면 외에 새로운 바탕화면을 만들어서 별도의 작업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이 역시도 맥의 미션컨트롤과 유사하나, 오래전부터 서드파티 등을 통해 구현·제공됐던 기능이기 때문에 따라했다고 평가하긴 힘들다.
개인·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윈도10이 유리한 점이 많다. OS점유율을 생각해보면 나오는 답이다. 윈도10과 함께 공개된 오피스는 협업을 위한 많은 기능이 구현돼 있으며, 대부분의 윈도 애플리케이션이 그대로 윈도10에서 동작한다.
‘윈도는 보안에 취약하다’는 편견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 것들도 눈에 띈다. 새로운 웹브라우저 엣지는 구동 자체가 샌드박스에서 이뤄진다. 가상의 공간에서 브라우징이 이뤄지기 때문에 우회하기가 쉽지 않다. 액티브엑스(Active-X)와 같은 플러그인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취약점에 의한 문제도 극히 드물다. 이외에도 지문인증이나 얼굴인증 등 생체정보를 통한 정보보호 기능과 회피가 불가능한 업데이트 기능 등은 보안성을 담보해준다.
다만 아직 UI가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것은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제어판(윈도8.1)과 설정(윈도10)이 따로 존재한다. 윈도10용 애플리케이션과 이전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의 UI가 다른 부분도 수정돼야 한다. 지나칠 정도로 웹표준을 따라가는 점은 오히려 국내 서비스 이용에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부 단점을 제외하면 윈도10은 맥 사용자들을 전향하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윈도10은 윈도7에 이어 애플의 점유율 확대의 큰 장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민형 기자>kiku@ddaily.co.kr
"10억원대 판권계약"…리디, 소설 ‘식물, 상점’ 해외 9개국 수출
2025-02-25 10:49:42디노티시아-파인더스, AI 기반 보험 솔루션 공동 개발 MOU
2025-02-25 10:48:35"캠페인 성과 한 눈에"…메타, AI 기반 자동화 광고 솔루션 개선
2025-02-25 10:47:29" IT·디지털 신입 모집, 코딩 테스트 추가"… 우리은행, 2025년 상반기 신입행원 채용
2025-02-25 10:41:33한은 기준금리 3%→2.75% 인하… 한미금리차 확대, 원달러환율 상승 압력↑
2025-02-25 10:3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