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TV 해외직구에 업계 ‘주름살’
9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TV제품 해외 직구 규모는 390만달러(한화 약 43억8000만원) 수준으로 지난 2013년 40만달러(한화 약 4억5000만원) 대비 8배 이상 성장했다. 관세청은 올해 TV제품 직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해외 직구 급증의 이유는 같은 TV제품인데도 국내 가격 대비 절반에서 심지어는 3분의 1 수준인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배송비와 각종 세금을 더해도 국내보다 30% 이상 싸게 구매가 가능하다.
실제 LG전자 42인치 발광다이오드(LED) TV제품(모델명: 42LF5600)의 경우 국내 최저가는 74만원인데 반해 해외에서는 384달러(한화 약 39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관세와 부가세, 해외배송비를 포함하더라도 55만원 수준이다. 상위 등급 제품일수록 국내와의 가격차는 더 커진다.
삼성전자의 55인치 커브드 LED TV제품(제품명: UN55JU6900F)의 국내 최저가는 223만원이나, 유사한 해외제품(제품명: UN55JU6700)은 1297달러(한화 약 145만원)다. 국내용 제품에 HDMI, USB포트 등 편의기능이 더 들어간 것을 감안해도 차이가 있다.
TV업계는 직구 증가가 반갑지만은 않은 눈치다. 국내 영업 측면에서는 손해다. 특히 LG전자는 국내 사업부에서 영업, 마케팅 비용은 집행했으나 정작 매출은 해외 영업에서 나와 비용 투자 대비 수익률은 낮아지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TV제품이 다양한 판매 채널을 통해 팔린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다만 국내 영업의 관점에서 직구 확산에 대한 대응책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해외에서 판매된 TV제품도 TV사업부가 포함된 소비자가전(CE) 사업부 매출로 집계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고 전했다.
<이민형 기자>kiku@ddaily.co.kr
"뉴진스 갈등? 최고매출 거뒀잖아"…'공연·MD'로 입증한 하이브
2025-02-25 18:22:31LGU+, MWC서 'PQC(양자내성암호)' 기술로 AI 보안 차별화
2025-02-25 18:22:06한국신용데이터-대전시, 제4인뱅 '한국소호은행' 본사 대전에 설립 추진
2025-02-25 18:02:22[데스크칼럼] 금리인하가 만병통치약인가… '고환율' 대책은?
2025-02-25 18:01:59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