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 중 14명, 억만금 줘도 ‘모바일 인터넷’ 포기 못해”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해 미국, 일본 등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70%를 차지하는 13개국 이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인터넷의 ‘소비자 잉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100명 중 14명이 돈을 얼마든지 주더라도 ‘모바일 인터넷’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잉여란 소비자들이 기기, 앱, 서비스 등에 대해 지불한 것 이상으로 얻은 가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격이 10만원이지만 실제 8만원을 주고 구매했다면 소비자 잉여는 2만원이다.
이에 대해 BCG의 최인혁 파트너<사진>는 “이용자들이 모바일 인터넷을 생필품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의 경우 13개국 평균보다 소비자 잉여가 4400달러(약 488만원) 정도로 높게 나왔다. 한국인의 75% 정도가 모바일 인터넷 이용을 포기하느니 신문, 초콜릿, 패스트푸드를 포기하겠다고 응답했으며 60% 정도는 술과 커피를, 20%는 샤워를 포기하겠다고 답했다.
이처럼 비용 대비 가치가 7배 가까이 나타난 경우는 여타 산업군에선 전무하다. 최 파트너는 “다른 산업에선 일반적으로 소비자 잉여가 2배를 넘는 경우가 잘 없다”며 “7배는 가장 높게 나타난 경우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향후 모바일 인터넷 발전상에 대해선 스마트폰이 계속 진화해 슈퍼 가젯(도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10여개의 웨어러블(입는) 기기와 사물인터넷(IoT) 기기로 분산돼 다양한 생태계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최 파트너는 “스마트폰 폼팩터가 웨어러블, IoT(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분산돼 이 시장을 벤처가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며 “창업 활성화와 벤처 간 콜라보레이션(협업) 체계를 잘 만들 것이냐 정부가 규제를 잘 풀어줄 것이냐 부분을 앞으로 고민해야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