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명분보다 실리?…팬택, 생존 ‘먹구름’
- 통신 3사, 팬택 출자전환 거부 분위기 우세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팬택의 생존이 쉽지 않아졌다. 금융권도 통신사도 주판알을 튕기다 보니 시한이 다가왔다. 금융권은 신규 투자를 주저하고 통신사는 출자전환을 주저한다. 결국 명분과 실리에서 실리 쪽으로 무게 중심이 기우는 분위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는 팬택 출자전환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팬택은 현재 기업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 중이다. 오는 4일이 연장 여부를 결정하는 최종일이다. 팬택 패권금융기관협의회는 팬택 워크아웃 지속 조건으로 10대1 무상감자 뒤 4800억원 출자전환을 논의했다. 출자전환은 채권단에 3000억원 통신사에 1800억원을 요구했다.
채권단은 3000억원 출자전환 전제 조건으로 통신사 출자전환을 내걸었다. 통신사가 돈을 대지 않으면 채권단도 돈을 대지 않는다. 표면상 통신사가 팬택 명줄을 쥐고 있는 셈이다. 통신사의 이번 결정은 통신사도 금융권도 팬택을 책임지지 않겠다는 신호로 여겨진다.
팬택은 국내 휴대폰 점유율 3위 제조사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대기업과 경쟁을 하며 지난 20여년간을 보냈다.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1차 워크아웃을 겪었다. 하지만 워크아웃 종료 직후인 지난 2012년 3분기부터 2014년 1분기까지 7분기 연속 적자다. 2차 워크아웃은 지난 3월 개시했다.
팬택 채권단은 ▲산업은행(지분율 11.81%) ▲농협(5.21%) ▲우리은행(4.95%) ▲신용보증기금(4.12%) ▲하나은행(3.49%) ▲수출입은행(2.78%) ▲신한은행(2.55%) ▲국민은행(1.75%) ▲대구은행(1.16%) 등 9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돼있다. 주채권은행은 산업은행이다.
채권단이 통신사에 출자전환을 요구한 근거는 명분이다. 팬택의 경영위기를 심화시킨 것은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이뤄진 통신 3사 사업정지가 컸다. 통신 3사는 보조금 과잉 지급으로 각각 45일 동안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사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통신 3사가 영업을 하지 못하니 휴대폰도 팔리지 않았다. 팬택은 2014년 1월과 2월에는 흑자였지만 3월 적자로 분기 흑자전환에 실패했다.
1800억원은 팬택 제품 보조금으로 쓰일 돈이다. 통상 휴대폰 보조금은 제조사와 통신사 1대1 매칭 펀드 형태로 조성된다. 통신사가 제조사에서 제품을 사면 제조사는 그 돈의 일부를 통신사에 돌려주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담보는 설정치 않는다. 통신사가 가지고 있는 팬택의 재고는 60~70만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대당 50만원으로 환산하면 3000~3500억원 정도다. 이를 감안하면 1800억원은 그리 많은 돈은 아니다. 통신사는 연 8조원을 마케팅비로 활용한다.
한편 팬택이 주저앉을 경우 정부도 책임을 면키는 어렵다. 정부의 통신시장 제재가 팬택의 경영위기를 심화시켰기 때문이다. 통신사와 금융권도 실리 위주의 판단으로 중소기업의 위기를 외면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휴대폰 제조사 관계자는 “휴대폰 제조사 역시 통신사처럼 3자 구도가 형성되는 것이 소비자에게도 유리하다”라며 “통신사가 국내 제조 생태계 유지를 위해 일정부분 책임져야 할 의무를 외면하는 것 같아 씁쓸하다”라고 지적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 유예… 한시름 놓은 은행권, 기업금융 괴삐죌까
2024-12-22 14:06:20심각한 노인빈곤율…"면세자에 대한 환급형 세액공제 도입해야"
2024-12-22 12:38:24올해 정보보호 투자액 2조원 돌파…공시 의무화 효과 '톡톡'
2024-12-22 12:00:00예상 빗나가지 않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의 '물갈이'… 탄핵 정국속 '마이웨이'
2024-12-22 11:21:15[OTT레이더] '무한도전'부터 '해리포터'까지…연말 정주행 찬스
2024-12-22 11: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