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규제대응 돌출… 증권업계, 올해 IT투자 진퇴양난
- 장차법, 보안 강화 정책 등 규제 대응 위한 IT프로젝트 불가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없는 집 제사 돌아오듯 한다’는 속담에 비유할 만하다. 증권시장의 침체로 점포축소 등 비상경영에 들어간 증권업계가 올해 IT투자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비상경영의 여파로 보수적인 IT투자를 계획했지만 규제 대응(컴플라이언스)과 최근 일어난 금융권 보안 사고로 인해 추가 투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규제대응은 금융 당국의 강제적인 정책적 가이드라인으로 정해지는 것이라 대외 공신력을 위해 하기싫어도 해야한다. 바젤, IFRS, 전자금융감독규정 대응 등이 대표적이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증권업계는 올해 IT투자를 지난해에 비해 보수적으로 책정한 바 있다. 스마트 주식거래 등 차세대 거래 채널로 떠오른 부분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진행하지만 신규 투자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이는 금융당국 및 정부의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사업이 올해 산적해있기 때문이다.
우선 4월부터 시행되는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차법)’의 경우 증권사들은 홈페이지 및 홈트레이딩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편의성 확보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증권업계 중 교보증권, 대우증권 등 일부 대형사들을 위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나머지 증권사들은 사업 착수에 대해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
증권사들은 홈트레이딩 서비스의 경우만 해도 수십가지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이러한 기능에 접근성을 확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얘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그래픽의 채도나 명도를 규정하고 있지만 다양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증권 거래업무의 특성을 고려하면 적용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마찬가지로 각종 시황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기술적인 구현이 문제가 아니라 결국 투입되는 비용에 대해 증권업계가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거래 속도를 논외로 한다면 기술적으로 구현은 언제든지 가능하다”며 “다만 사업 범위가 넓고 그만큼 개발 인력이 투입돼야 해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제3의 증권시장으로 불리는 코넥스(Konex) 시장 출범에 따른 시스템 투자 규모에 대해서도 증권사들은 주목하고 있다.
코넥스는 자본시장의 본연의 기업자금조달 기능 제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최근 한국거래소는 코넥스의 지정자문인 신청서 접수를 마감해 자기자본 1조원 이상 대형사 10곳, 중소형사 13곳 등 모두 23개 증권사가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증권사들은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시장 참여를 기획했지만 사업에 필수적인 시스템 개발에 대해선 한국거래소의 방침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의 시스템 개발 범위와 방식에 따라 시스템 투자 비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도 이러한 증권사들의 분위기를 감안해 최소한의 시스템 투자로 시장 참여가 가능한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금융위원회의 가이드라인이 확정되지 않아 구체적인 시스템 개발 범위와 규모를 산정하기 쉽지 않아 증권사들은 금융당국의 결정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금융권의 전산마비 사고에 따라 이르면 다음달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금융권 보안 종합 개선책’에 담긴 정책 범위에도 증권사들은 신경을 쓰고 있다. 지난 2011년 농협 전산마비 사고 이후 강화된 금융권 보안대책에도 불구하고 증권사들은 상대적으로 압박을 덜 받았다.
실제 망분리와 같은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는 부분은 은행들도 쉽사리 접근하지 못했다. 따라서 증권사들은 은행권의 동향을 지켜보며 어느정도 확산이 본격화되면 망분리 사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대부분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인해 증권사들도 금융당국의 보안규제를 피해가기 어려워졌다. 증권사에 대한 직접 피해가 보고된 것은 없지만 증권사라고 해서 이번 금융당국의 보안 대책에서 비켜나가기에는 상황이 좋지 않다.
그동안 증권사들은 비용을 이유로 각종 규제와 새로운 서비스 시행에 따른 IT대응 면에서 항상 뒷걸음 쳐 왔다.
사실상 장차법 대응을 위한 IT사업에 비용을 이유로 손을 놓고 있는 것도 문제다.
한국거래소의 차세대 거래시스템인 ‘엑스추어 플러스’와 관련해서도 시스템 투자 부담을 이유로 거래 시스템의 도입 시기를 늦춰달라는 의견을 냈었고 서울에만 있던 증권거래용 라우터를 부산에도 추가 설치하자 비용 부담을 이유로 볼멘 소리를 내기도 했다.
하지만 갈수록 금융당국과 여론이 적어도 규제에 대해서는 충실히 대응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만큼 올해 증권업계의 IT투자 방향이 변할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DD퇴근길] 미성년자, 밤 10시부터 인스타 금지…넷플릭스, '오겜2' 효과 톡
2025-01-22 18:07:46김태규 직무대행 "방송산업 위기, 규제 혁신·협업으로 돌파"
2025-01-22 18:07:22LG CNS 일반청약에 증거금 21조원 몰렸다…상장 흥행 신호탄
2025-01-22 17:47:35바이트댄스, 틱톡 위기에도 AI 올인 '17조원 투자'
2025-01-22 17:44:47김병환 금융위원장 “업비트 제재 수준, 언급할 부분아냐… 최대한 빨리 결론”
2025-01-22 17: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