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활성화 3대 걸림돌, “위약금·단말기·보조금”
- 장윤식 한국MVNO협회장, “알뜰폰, 오고 싶어도 못 온다”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알뜰폰(MVNO, 이동통신재판매) 오고 싶어도 못 온다. 각종 위약금 때문이다. 단말기 경쟁도 사라졌다. 보조금 경쟁도 문제다.”
31일 장윤식 한국MVNO협회장<사진>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2층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통신요금인하와 알뜰폰(MVNO, 이동통신재판매) 활성화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유통구조 변화가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선결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알뜰폰 사업자는 26개다. 지난해 기준 127만명 가입자가 있다. 점유율은 2.4%다.
장 회장은 “100만명 넘었다고 하지만 30%는 휴면이고 실 사용자는 70만명”이라며 “알뜰폰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특히 통신사가 알뜰폰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망 이용대가 인하와 단말기를 통신사 중심으로 유통하고 있는 것 등에 대한 개선을 요구했다. 국내 제조사가 만든 단말기를 역수입 할 경우 전파인증을 다시 받아야 하는 것도 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MVNO협회에 따르면 국내 휴대폰 시장 매출은 연간 23조원이다. 이중 3분의 1인 6~7조원이 단말기 보조금으로 추정된다.
장 회장은 “단말기와 요금 서비스를 묶어서 파는 현재 상황에서는 소비자는 단말기가 비싼지 통신비가 비싼지 알 수 없다”라며 “이러니 보조금 경쟁이 없어지지 않는 것이고 단말기간 경쟁도 이뤄지지 않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멀티미디어문자메시지(MMS)와 국제로밍, 롱텀에볼루션(LTE)도 의무 서비스에 넣어야 한다”라며 “주파수 할당시 알뜰폰 활성화 조건을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라고 덧붙였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통신 이용자정보 조회도 ‘영장주의’...국회 여야 평행선에 논의 ‘답보’
2025-02-25 16:51:20조국혁신당 ‘디지털권 보장’ 정책 제안…“‘개인정보 대시보드’로 이용자 보호 강화”
2025-02-25 16:49:53"BTS·블랙핑크 나이스"…68만 빅데이터로 본 최고 한류는 'K-팝'
2025-02-25 15:07:21“이게 돈이 되거든요”...패션 플랫폼, 뷰티 시장 뒤흔들까
2025-02-25 14:15:45[IT클로즈업] 카톡 선물하기·야놀자 예약, 다음은?…베일 싸인 오픈AI 韓 동맹
2025-02-25 14: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