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감청설비로 진화 우려…시민참여 DPI 관리체계 필요

채수웅 기자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패킷감청으로 이용 가능한 DPI(Deep Packet Inspection) 설비에 대한 합리적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병헌 민주통합당 의원은 26일 '해외 입법례와 사례를 통해 본 이용자 중심의 망중립성 정책과 DPI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정책제언' 보고서를 통해 시민참여형 DPI 관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DPI는 패킷의 헤더를 검사해 패킷의 유형이 무엇인지 등을 조사하거나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통사들은 대용량 콘텐츠 트래픽 및 보안 문제를 포함한 트래픽 관리 차원에서 DPI를 이용하고 있다. 모바일인터넷전화나 동영상 등 콘텐츠 유형의 트래픽을 분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현재 KT는 20Gbps/식 11대를 보유하고 있고 SK텔레콤은 10Gbps/식 11대, LG유플러스는 2.5Gbps/식 18대 및 23Gbps/식 6대를 보유하고 있다.

DPI 패킷분석 패턴은 제조사가 일률적으로 공급한다. 콘텐츠 내용은 암호화, 분산돼 전송되는데 DPI는 복호화와 패킷 조합기능이 없어 내용 해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하지만 현재는 프로그램 상으로 패킷감청이 불가능하지만 향후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통해 언제든지 패킷감청으로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전 의원의 설명이다.

이에 전 의원은 "DPI는 패킷 페더 뿐 아니라 페이로드 앞부분도 함께 보면서 패킷이 어디로 가는지 프로토콜, IP 등을 알 수 있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며 "언제든 감청설비로 둔갑할 수 있는 만큼, 주기적으로 DPI 설비를 관리감독하는 시민참여형 관리위 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