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안전망 vs 프라이버시…그러나 피할 수 없는 선택 ‘빅데이터’
수원시가 지난 24일, 수원 영통구에‘U-City 통합센터(유비쿼터스시티 통합센터)’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수원 시내의 우범지역 뒷골목을 24시간 폐쇄회로(CC)TV로 감시함으로써 범죄 발생 예방및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교통, 환경 등 도시 정보를 종합관리하는 것이 이 센터의 핵심 기능입니다.
아마도 센터의 규모로만 본다면 국내 지자체중에서는 가장 강력한 수준의 통합관제센터로 평가됩니다. 통합센터는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4천542㎡ 으로 적지않은 규모입니다.
이 건물 3층에 위치한 CCTV 통합관제 상황실에는 시내 곳곳에 설치된 방범 CCTV를 탐색할수 있는 대형 화면과 구역별 CCTV를 감시하는 8개의 데스크가 설치됐습니다.
CCTV 영상은 일선 경찰서 지령상황실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고, 범죄 징후가 발견될 경우 출동하는 순찰차에 영상을 보낼 수 있습니다. 특히 경찰관 3명, 모니터 요원 32명이 4개조로 나눠 연중무휴로 근무하며 CCTV에서 촬영된 수상한 움직임을 관찰하게 됩니다.
수원시는 올해 광교신도시 CCTV 215개와 초등학교 180개 등 395개를 통합센터에 연결하고,내년까지는 모두 1천400여개를 연결할 계획입니다.
그 기능이 강력한 만큼 물론 프라이버시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원 시민들 입장에서는 대부분 '세금 낸 보람'을 느끼게 할 만큼 필요한 시설이라고 평가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얼마전 세상을 경악하게한 '오원춘 사건'을 기억하고 있는 수원 시민들 입장에선 더욱 그럴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강력한 감시 기능', 그러나 무한대까지 확장할 수 있을까?= 수원‘U-City 통합센터'는 전국의 다른 지자체들에게도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당연히 고민해야할 현실적인 문제에 곧바로 직면하게 됩니다. 이 센터와 시스템을 운영할 막대한 비용입니다.
국내 지자체 중 상당수가 '적자'재정에 허덕이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몇개월전 경기도의 한 지자체는 시 공무원들의 월급을 제때 지급하지도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의 사각 지대'는 정의하기에 따라 '뒷골목'으로 국한시킬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그 범위가 훨씬 넓어질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CCTV설치, 그리고 그것을 실시간 감시하는 통제센터의 시스템과 운영 인력도 비례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수원시는 '경찰관 3명, 모니터 요원 32명이 4개조로 나눠 연중무휴로 근무하며 CCTV에서 촬영된 수상한 움직임을 관찰한다'고 밝혔습니다.
모니터 요원 32명에 4개조라면, 8명이 각각 8대의 데스크에 앉아서 8시간씩 하루 4교대로 근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CTV 설치가 늘어나게 되면 모니터 요원도 그와 비례해서 늘어나야하는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수원시는 '올해 광교신도시 CCTV 215개와 초등학교 180개 등 395개를 통합센터에 연결하고,내년까지는 모두 1천400여개를 연결하겠다'고 했습니다.
'제한된 예산'내에서 수원시가 앞으로 이를 모니터할 추가 인력, 시스템 확충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응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어쩔 수 없이 선택해야할 '빅 데이터'의 역할 = 국가 또는 공공 서비스부문에서 이러한 재정제약 (또는 예산제약)은 언제든 부딪혀야하는 문제입니다.
이와 관련 몇년전부터 주요 글로벌 IT업체들은 바로 이러한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나름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IT로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자'는 간단 명료한 논리입니다.
국내에선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지만 IBM의 주장하는 '스마터 플래닛'(똑똑한 지구) 캠페인이 대표적입니다. 그것의 구체적인 실행수단으로 '빅 데이터'(Big Data)전략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리밍' 분석 기술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게되면 통합관제센터의 '모니터 요원'이 물리적으로 더 늘어날 이유는 없습니다.
CCTV에 찍히는 실시간 영상들이 '범죄의 행태' 또는 '비정상적인 행태'라고 분석되면 즉시 비상대응 체계가 가동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까지 분석해서 하나의 로직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빅데이터'의 영역입니다. 이미 미국에선 공공(교통량 분석), 응급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 사례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여러가지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했을때 '사회 안전망의 확충'은 궁극적으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빅데이터에서 해결해야 할 영역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프라이버시의 문제, 과도한 사회 통제시스템의 구축을 의미하는 '빅 브라더' 논란은 지금 우리가 상상하는 것 보다 훨씬 더 거세질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는 그만큼 강력한 '분석 툴'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기때문입니다.
[IT위클리템] 소비자 니즈 충족…캐논 '셀피 포토프린터', WD '콘솔용 SSD' 출시
2024-11-16 14:11:51[尹정부 ICT점검] ‘디지털정부 1위’ 성과 이면에 장애대응·격차해소 과제로
2024-11-16 10:39:44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