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금융회사 IT전략③] 기업은행, ‘포스트 차세대’ 닻은 오르고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IBK기업은행은 여전히 국책은행이지만 오래전부터 시중 은행과 같은 친근한 이미지 변신을 서둘러왔고, 실제로 시장에서는 이러한 변신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 수년간 국책은행이라는 기존 보수적인 문화를 장벽을 스스로 뛰어넘어 오히려 일반 시중은행들과 비교해 발빠르고 과감한 IT혁신을 주도한 점은 높게 평가받아야할 부분이다.
차세대시스템 환경으로의 전환한 지 벌써 5년이 넘었지만 '포스트 차세대'프로젝트를 통해 기술과 비즈니스 환경변화의 간극을 맞춰나가는 노력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내년 상반기부터는 '기업은행 민영화' 논의가 다시 본격적으로 재개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에 따라 IT조직개편 등 보다 깊이있는 중장기 IT전략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분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IBK금융지주회사의 출범 등 기업은행을 금융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기위한 움직임이 내년에 가속화 될지도 관심사항이다.
기업은행의 2011년 IT예산은 약 2600억원 규모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기업은행 IT예산 2500억원 보다 약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의 2011년 IT전략에 있어 가장 큰 과제는 역시 '포스트(Post) 차세대시스템' 착수 여부. 기업은행 내부적으로는 내년 중으로 포스트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금융IT업계 일각에서는 기업은행이 단순히 기존 차세대시스템을 보완하는 것이 아닌 '2기 차세대 시스템' 수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란 기대도 하지만 아직 구체화되지는 않은 상태다.
◆포스트 차세대 방안 마련 =‘포스트 차세대’란 턴키방식으로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를 진행한 금융회사가 프로젝트 완료이후 미처 구현하지 못했던 새로운 신기술을 반영하기 위해 추진하는 IT사업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산으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모바일 중심의 업무 프로세스 혁신 등이 포스트 차세대 프로젝트의 사례로 들 수 있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 2004년 차세대시스템 가동 이후 지속적인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 왔지만 시스템 적으로 최신 신기술에 대한 대규모 IT투자는 자제해 왔다. 보안시스템 확충 등 기존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투자를 강화하는 선에서 그쳤다. 그러나 이번 포스트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가면서 차세대 시스템 도입을 위한 밑그림도 그려갈 전망이다.
하지만 차세대시스템의 구축 방법론에 있어서 빅뱅(Big Bang) 방식을 취할지 아니면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점진적 방법을 적용할 지에 대한 고민이 우선 진행돼야 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빅뱅방식과 점진적 방식 모두 일장일단이 있어 방법을 놓고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이미 기업은행은 포스트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위한 TF를 구성하고 관련 작업의 검토에 들어간 상황이다.
지난 7월 구성된 TF를 통해 ▲금융지주에 대응한 시스템 기반 마련 ▲쉽고 빠른 사용자 환경 구현 ▲영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채널과 트렌드 반영 ▲미래 IT를 지향한 IT 인프라 개선 등을 중심으로 차세대시스템에 대한 고민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은 상반기 안으로 차세대시스템에 대한 밑그림을 완성하고 늦어도 하반기안에는 시스템 구축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시스템과 별도로 기업은행이 진행하고 있는 서버통합 사업도 계속된다.
지난 2009년 1단계 사업을 통해 자본시장, 홈페이지 등 30개 업무시스템을 대상으로 서버 69대를 13개로 줄였으며 2단계 사업을 통해 109대의 서버를 9대로 통합하는 작업을 수행한 기업은행은 2011년 3차 사업을 통해 서버 94대를 15대로, 2012년 4차에는 서버 54대를 6대로, 마지막 2013년 5년차에는 85대의 서버를 24대로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기업은행 내부적으로 가상화를 통한 서버통합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돼 전체적인 규모도 늘어나고 있어 전체적인 프로젝트 기간이 단축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퇴직연금 및 새 주소체계 대응도 진행 = 퇴직연금시스템 고도화도 내년 기업은행 IT프로젝트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근퇴법) 전면 개정에 따라 내년부터 새로운 퇴직연금시스템 고도화가 진행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확정급여(DB)형과 확정기여(DC)형 등 퇴직연금 상품의 혼합이 가능해지고 기업의 수수료 지불형태가 달라지는 등 시스템 수정이 불가피하다. 또 자영업자들도 퇴직연금 상품에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다.
기업은행은 지난 2008년 동양시스템즈를 주 사업자로 퇴직연금시스템을 구축한바 있어 그동안 법 개정에 따라 대응을 해왔지만 내년도에는 대폭 규정이 수정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을 한다는 전략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퇴직연금시스템 업그레이드 이슈 뿐만 아니라 정부시책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주소체계에 대한 대응작업도 진행된다. 정부차원에서 진행 중인 새주소 전환사업 법시행이 2012년 1월로 예정돼있어 내년에는 이에 대한 시스템적인 대응작업을 완료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새 주소체계 대응은 시스템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현재 일부 대응이 되어 있는 시스템도 있지만 미입력 된 시스템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또 타행과 금융정보를 주고 받을 때 혼돈이 있을수 있어 이에 대한 작업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IT위클리템] 소비자 니즈 충족…캐논 '셀피 포토프린터', WD '콘솔용 SSD' 출시
2024-11-16 14:11:51[尹정부 ICT점검] ‘디지털정부 1위’ 성과 이면에 장애대응·격차해소 과제로
2024-11-16 10:39:44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