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 日 생체인증 서비스 '터치엔 원패스' MAU 700만 돌파
[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일본에 진출한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서비스가 월간활성이용자수(MAU) 700만명을 돌파했다.
정보기술(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이정아)는 일본향 생체인증 서비스 '터치엔 원패스(TouchEn OnePass)의 MAU가 700만명(4월 말 기준)을 넘어섰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말 이후 4개월 만에 100만명 이상 증가한 수치로, 라온시큐어는 연내 1000만 MAU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터치엔 원패스는 클라우드 기반 생체인증 서비스로, 지문·얼굴 등 생체 정보를 활용해 본인인증을 하는 만큼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라온시큐어는 해당 서비스를 일본 금융기관, 핀테크 기업, 교육기관 등에 공급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일본 최대 인터넷은행인 스미신SBI네트은행과 해당 은행 자회사인 네오뱅크테크놀로지스와 약 35억 원 규모의 원패스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일본 시장 내 점유율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약 2조7000억원 규모의 온라인 증권 계좌 해킹 피해가 발생해 보안·인증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어 일본 금융청과 주요 증권사들은 생체인증 및 다중 인증 도입을 검토 중이다.
라온시큐어는 생체인증 서비스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자격 인증 통합 플랫폼 '옴니원 디지털아이디(OmniOne Digital ID)'를 일본 대기업 및 공공기관과 함께 기술 검증(PoC)을 진행하며, 고객 저변을 확대 중이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MAU 700만 돌파는 기술 경쟁력을 넘어 해외 인증 시장에서의 현지화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일본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아시아 및 북미 시장까지 진출 영역을 넓히며 디지털 인증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라온시큐어는 세계 최초로 FIDO 글로벌 인증을 획득해 'FIDO 얼라이언스' 이사회 멤버로도 활동 중이다. 국내 금융권 최초로 생체정보 기반 인증 기술을 도입했고, 생체인증 기술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라온시큐어는 자사 블록체인 기반 DID 플랫폼 기술로 구현한 모바일 신분증에도 자체 생체인증 기술을 접목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한편 <디지털데일리>는 5월20일 서울 소공동에 위치한 롯데호텔서울 사파이어볼룸(3F)에서 제2회 차세대 보안 혁신 서밋 'NSIS 2025'를 개최한다. NSIS 2025는 공공·금융·일반 기업의 보안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며, 공무원·일반 기업 보안교육(최대 7시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디지털데일리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사전 등록할 수 있으며, 온라인 사전등록은 5월19일 오후 3시까지다.
[AWS 서밋 서울] AWS, AI 실행 전략 강조…현대카드·트웰브랩스 사례 주목
2025-05-14 14:09:52[NSIS 2025⑤] 기존 암호체계의 붕괴? 보안업계 '양자' 뜨거운 관심
2025-05-14 14:08:57이재명·김문수, 사실상 '상생금융' 시즌3 예고… 은행권, 실적 타격 '전전긍긍'
2025-05-14 14:01:19[AWS 서밋 서울] 함기호 대표 “생성형AI, 한국이 가장 빨라…기술혁신 지원사격”
2025-05-14 13:5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