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GM, LG엔솔과 각형 LMR 배터리 만든다…2028년 상용화 목표 [소부장박대리]

고성현 기자
제너럴모터스 디트로이트 본사 [ⓒ로이터=연합뉴스]
제너럴모터스 디트로이트 본사 [ⓒ로이터=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해 각형 기반의 망간리치(LMR) 배터리를 개발, 오는 2028년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GM은 13일(현지시간) LG에너지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리튬망간리치(LMR) 각형 배터리셀을 상용화해 차기 전기트럭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GM은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가 2028년까지 미국 내 제조시설에서 LMR 각형 배터리셀의 상업용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범 생산이 2027년 말까지 LG에너지솔루션 시설에서 이뤄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LMR 배터리는 양극재 소재 중 망간 비율을 높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다. 비싼 코발트와 니켈 대신 저렴한 망간을 많이 사용해 비용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더 큰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배터리 업계는 이전부터 망간 중심의 배터리 개발을 지속해왔으나 잦은 균열 발생에 따른 수명 저하로 실제 상용화가 되지 않은 바 있다. 최근에는 단결정 양극재 및 고전압 기술 적용을 중심으로 이를 상용화하는 움직임이 재개된 상황이다.

GM과 LG에너지솔루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리튬인산철(LFP) 기반 배터리 셀과 비교해 같은 비용으로 33%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규 개발 LMR 셀은 쉐보레 실버라도 전기 트럭과 대형 전기 SUV인 에스컬레이드 IQ에 적용될 예정이며, 644㎞ 이상의 주행거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LMR 배터리 관련 기술 특허 200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GM 역시 2010년대 중반부터 LMR 배터리 연구를 지속해왔다. 양사는 지난해 12월 각형 배터리 공동 개발을 통해 LMR 각형 개발을 위한 토대를 쌓은 바 있다.

고성현 기자
naretss@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