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HPE와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 계약 체결…총사업비 3825억원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휴렛팩커드(HPE) 간 국가 초고성능컴퓨터(이하 슈퍼컴) 6호기 구축을 위한 계약이 지난 12일 최종 체결됐다고 14일 밝혔다.
사업비는 5년간 유지보수비 780억원을 포함한 총 3825억원이며, 내년 상반기 구축 완료가 목표다.
조달청에 따르면, 이번 슈퍼컴 6호기 입찰에는 슈퍼컴퓨터 제조사들 중 2개사가 참가했고, 규격과 성능 검토를 거쳐 HPE가 최종 낙찰 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계약을 체결한 HPE는 슈퍼컴 전용 네트워크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세계 슈퍼컴퓨터 톱(Top)500 중 세계 1위 엘 캐피탄(미국), 2위 프론티어(미국), 5위 HPC6(이탈리아)를 포함해 106개 슈퍼컴을 등재한 바 있다.
슈퍼컴 6호기는 인공지능(AI) 혁신 등 급변하는 글로벌 연구‧산업 환경 속에서 대규모 고정밀 과학‧공학 계산과 초거대 AI 분야의 연구개발(R&D)을 폭넓게 지원하는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엔비디아의 ‘GH200’ 등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8496장을 탑재하고, 600페타플롭스(PF)급 연산성능, 205페타바이트(PB)의 저장공간, 400기가비피에스(Gbps) 이상의 초고속 네트워크 성능을 갖출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세계 10위 이내 슈퍼컴퓨터로 톱500에 등재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3월12일에 발표한 ‘AI+S&T 활성화 방안’을 통해, 전 세계적인 AI 중심 R&D 패러다임 전환에 대응해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한 국내 과학기술 전반의 AI 활용을 확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슈퍼컴 6호기 구축이 완료되는 즉시 초거대 계산과학, 데이터 분석, AI+S&T 활성화 R&D 수요, 중규모 이상(GPU 50~200개 내외 활용)의 AI 개발 등 다양한 수요를 신속히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그간 누적된 연구‧산업 현장의 GPU 활용 수요가 한꺼번에 해소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출연연 등에서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연구 분야별 특화형 GPU 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맞춤형 ‘AI+S&T 공공인프라’ 구축 방안도 재정당국과 협의 중이다.
과기정통부 김성수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국내의 GPU 수요자 급증‧확산으로 요구되는 슈퍼컴 6호기 도입 계약이 적기에 성사됐으며, 연구‧산업 현장에서 기존 방식으로 풀지 못했던 난제들이 해결되고, 지금까지 없었던 혁신적인 연구성과들이 창출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2월 '토지거래허가제' 일시 해제 후폭풍… 4월 은행권 '가계대출' 큰 폭 증가
2025-05-14 14:47:41[AWS 서밋 서울] AWS, AI 실행 전략 강조…현대카드·트웰브랩스 사례 주목
2025-05-14 14:09:52[NSIS 2025⑤] 기존 암호체계의 붕괴? 보안업계 '양자' 뜨거운 관심
2025-05-14 14:08:57이재명·김문수, 사실상 '상생금융' 시즌3 예고… 은행권, 실적 타격 '전전긍긍'
2025-05-14 14: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