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지오영 인수후 2746억 유상감자 실시… 왜 논란인가
[디지털데일리 강기훈기자] 의약품 도소매 업체인 지오영의 최대주주 조선혜지와이홀딩스(이하 조선혜지와이)가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유상감자로 약 2700억 원을 주주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있다.
홈플러스의 사례에서보듯 인수한 기업의 재무 상황이나 실적 등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금 회수에 우선순위를 두는 MBK의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는 시각때문이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조선혜지와이는 지난해 약 2746억 원 규모의 유상감자를 단행해 그만큼의 자본이 감소했다.
유상감자는 자본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걸 말한다.
자본이 감소하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상승하는 등 재무구조가 부실해질 우려가 있지만, 일종의 주주환원이라는 점에서 당장 주주 입장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주목되는 점은 유상감자 시기다.
조선혜지와이 법인등기에 따르면 유상감자로 인한 자본금 감소는 지난해 7월 초에 이뤄졌다.
지난해 7월 초면 MBK가 조선혜지와이 지분 71.6%를 취득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 지 약 한 달이 지난 시점이다.
MBK가 최대주주로 올라서고 MBK 인사들로 이사회 구성원이 바뀌자마자 유상감자로 약 2000억 원(2746억 원의 71.6%)을 회수했다고 여겨지는 대목이다.
공교롭게도 대규모 유상감자로 조선혜지와이 재무구조는 악화됐다.
2023년 말 연결기준 506%였던 이 회사의 부채비율은 2024년 말 1600%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자산도 1819억 원에서 461억 원으로 줄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조선혜지와이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해 당기순손실로 전환했다.
MBK가 인수한 기업에서 배당이나 유상감자로 현금 유출이 이뤄지는 경우는 홈플러스 사례를 제외하더라도 찾아볼 수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2023년 MBK가 인수한 메디트는 2년 연속 적자에도 지난해 최대주주인 디지털덴티스트리솔루션홀딩스(MBK 소유 법인)에 약 900억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투자금 회수를 단행한 것이다.
또한 2023년 MBK가 인수한 오스템임플란트도 지난달 MBK 소유 법인인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에 892억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오스템임플란트 당기순이익은 5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5%나 감소했다.
최대주주인 MBK가 기업의 턴어라운드가 아닌 투자금 회수에 집중하는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한편 조선혜지와이 등기임원은 총 5명으로 창업자인 조선혜 대표이사를 제외하면 모두 MBK 인사로 꾸려져 있다.
MBK의 이진하 파트너와 당효성 파트너, 차영수 매니징디렉터가 기타비상무이사를 맡고 있고, 천준호 매니징디렉터가 감사를 맡고 있다.
당 파트너를 제외한 인원 모두 조선혜지와이가 유상감자를 하기 전인 지난해 6월 선임됐다.
[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영풍전자도 실적 악화, 작년 매출 전년비 60% 감소… 영풍그룹 주요 계열사들 '난국'
2025-04-15 17:5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