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6.3 대선' 신경쓰이네… '우리금융 보험M&A' 늦춰질수록, 금융 당국도 부담

강기훈 기자
ⓒ우리금융
ⓒ우리금융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우리금융의 인수합병(M&A)과 관련해 금융위원회가 아직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금융위 측은 "자회사 편입 여부와 결정 시기에 대해 확정된 바 없다"는 반응이다.

물론 우리금융이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자회사로 편입하는 데 성공할 것이라는 분석은 이미 금융권내 주류 의견으로 존재해왔다.

다만, 논의가 길어질수록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 또한 나온다. 일각에선 민감한 정책적 결정 사안이다보니 아예 새정부 출범이후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는 견해도 없지는 않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10일 금융위는 안건 소위원회를 열고 동양·ABL생명 인수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지난달 27일 첫 심의에 이어 두 번째 논의다.

이 자리에서 자회사 편입 승인 여부와 관련해 최종 결론에 다다르지는 못했다. 추가적으로 들여다 볼 부분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위 관계자는 "아직 동양·ABL생명 인수와 관련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며 "3차 안건 소위원회를 열어 재논의를 거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위가 이달말 께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인수를 최종 승인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우리금융은 전임 회장이 연루된 부당대출 건이 불거진 뒤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경영실태평가에 있어 3등급이라는 성적을 통보 받은 바 있다. 금융지주 감독규정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금융지주가 3등급 이하를 받게 되면 다른 금융사를 자회사로 편입할 수 없다.

금융지주 경영실태평가는 리스크 관리(40%), 재무상태(30%), 잠재적 충격(30%) 등 3가지 부문으로 분류된다. 우리금융의 경우, 내부통제를 다루는 리스크 관리 부문과 자회사 관리를 다루는 잠재적 충격 부문에서 점수가 내려갔다.

한 심의 위원은 "특히 내부통제 부실이 확인된 만큼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추가적인 소위원회 개최는 불가피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업계에서는 결국 우리금융이 우여곡절 끝에 두 생보사를 자회사로 편입할 것이란 관측이 여전히 우세하다. 금융위가 내부통제 강화, 자본금 증액 등 조건을 달아 인수를 승인할 수 있어서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최근 내부통제를 강화하고자 이사회 내 윤리·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하고 감사위원을 대거 교체하는 등 쇄신에 힘쓰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이 금융위의 결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인수에 실패하면 1550억원의 계약금이 허공으로 날아가는데, 이 역시 금융당국 입장에선 이를 신경쓰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금융 M&A는 3차 소위를 거쳐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통상 소위가 재개되기까지 2주가 걸리지만 쟁점이 많을 시, 4주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6.3 대선' 일정상, 개최시기가 늦춰질수록 우리금융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만약 안건 소위가 5월 중순에 개최된다면 빨라야 5월 말에 정례회의에 회부될 것"이라며 "대선주자들이 금융 관련 공약을 낼 텐데 이 또한 금융위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우리금융 입장에선 빨리 M&A 건이 결론 지어지는 게 낫다"고 말했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우리금융 보험 M&A'가 늦춰질수록 모두에게 부담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가급적 일정을 앞당겨 5월전에 마무리 짖는것이 최선이라는 분석이 점점 힘을 얻는 형국이다.

강기훈 기자
kk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