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해외 부동산투자 2.64조원 부실 우려… 금감원 "손실 흡수능력 충분"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2024년 9월말 기준 55.8조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 대비 0.5조원 감소한 것이다.
4일 금융감독원 따르면, 금융업종중 보험 30.4조원(54.3%), 은행 12.0조원(21.5%), 증권 7.7조원(13.8%), 상호금융 3.6조원(6.5%), 여전 2.0조원(3.6%), 저축은행 0.1조원(0.2%) 순으로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액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이 34.1조원(61.1%)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8조원(19.4%), 아시아 3.8조원(6.8%), 기타 및 복수지역 7.1조원(12.7%) 순이다. 투자금액중 올해까지 12.0조원(21.5%, 2030년까지 42.5조원(76.2%) 만기가 도래한다.
그러나 금감원은 같은기간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3조원 중 2.64조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2024년 3분기 중에도 0.04조원 증가하는 등 EOD 규모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기한이익 상실'이란 연체 등의 사유가 발생함에 따라 채권자가 기한내에 대출금을 회수하게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금감원은 이와관련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오피스 시장은 유연근무 확산 등 구조적 요인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무디스에 따르면, 오피스 공실율은 20.1%이며 산업시설 6.7%, 아파트 5.8%, 소매 10.3%로 분석됐다.
다만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으나,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 확보 하에 해외 대체투자가 이뤄지도록 감독 강화할 계획이며 특이동향이 발생했거나 익스포져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뤄지도록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