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프린팅/디바이스

소니, NAB 2025서 콘텐츠 제작 간소화 솔루션 공개

김문기 기자
소니 HDC-F5500V [사진=소니]
소니 HDC-F5500V [사진=소니]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소니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6일부터 9일까지 개최되는 국제 방송 장비 전시회 ‘NAB 2025’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NAB 2025에서는 라이브 프로덕션 솔루션, 뉴스 및 프로덕션 워크플로우, 이미징 솔루션, 가상 프로덕션의 네 가지 핵심 영역을 지원하는 혁신적이고 전문적인 솔루션 및 제품을 선보인다.

소니는 개별 크리에이터와 기업 프로덕션의 연결성 및 창의성을 촉진하고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솔루션을 전시한다. 특히, 가변 광학 ND 필터를 갖춘 슈퍼 35mm 카메라 시스템, 초소형 풀프레임 카메라 확장 시스템, 콘텐츠 제작을 위한 카메라 트래킹 솔루션 등이 NAB 2025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소니는 슈퍼 35mm 4K CMOS 센서를 탑재한 라이브 프로덕션용 HDC-F5500V 시스템 카메라가 첫 선을 보인다. HDC-F5500V는 글로벌 셔터 이미지 센서, PL 렌즈 마운트, 옵션으로 제공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통해 가변 광학 ND필터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가상 조리개 기능으로 더욱 폭넓은 밝기 제어도 가능하다.

탈리(tally)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 ND 필터 제어도 가능해지는 등 최근 라이브 프로덕션 니즈에 맞게 설계됐다. HDR/SDR 프로덕션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IP 네트워킹, 원격 멀티 카메라 작동 및 카메라 제어 장치(in-CCU) 레코드 옵션 등 HDC-5500V 2/3인치 제품과 동일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국내에는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이다.

버전 1.1 펌웨어 업데이트를 마친 CNA-2 카메라 제어 네트워크 어댑터는 글로벌 멀티 카메라 시스템(Global Multi Camera System) 프로토콜을 통해 여러 제작 사이트의 통합 관리를 지원하며, 대규모 스포츠 이벤트와 같은 환경에서 다수 카메라의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HZC-MSUCN2 라이선스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여러 카메라의 구성 변경 및 색상 조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NAB 2025에서는 컴팩트하고 가벼운 POV 박스 카메라 HDC-P50A를 처음 전시한다. 이 카메라는 2/3인치 3칩(3-chip) 4K 글로벌 셔터 이미지 센서, 설치 유연성, 최대 HD 8배속 및 4K 4배속 출력, 직접 IP 연결 및 완전한 CCU 통합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소니의 HDC 시스템 카메라 제품군과 동일한 화질 및 작동 기능을 제공한다. HDC-P50A 카메라는 HKC-VND50 가변 광학 ND 필터를 옵션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CNA-2 추가로 중앙 집중식 모니터링 및 원격 작동이 가능하다.

소니의 최신 4K 전문가용 모니터인 16.5인치 BVM-HX1710 및 BVM-HX1710N(IP 인터페이스 포함)은 최대 휘도 3,000 니트와 탁월한 명암비 및 깊은 블랙 색상을 제공하며, 두 개의 4K 신호 또는 4K와 HD 영상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표시 기능을 지원한다.

3G-SD1 1920x1080/59.94P에 캡셔닝을 적용하고 최대 밝기 설정을 유연하게 제어하여 4000 니트에서 400 니트까지 8단계 조정이 가능하다. BVM-HX1710(N) 설정을 플래그십 모델인 BVM-HX3110 컬러 그레이딩 모니터에 공유할 수 있다. 또한 BVM-HX3110은 버전 2.0 무료 업그레이드를 통해 BVM-HX1710(N)에서 사용하던 기능을 새롭게 쓸 수 있다. BVM-HX3110용 버전 2 펌웨어는 올 여름 국내 출시 예정이다.

AI 기반 자동 프레이밍 및 추적 기능이 탑재된 BRC-AM7 4K PTZ(pan-tilt, zoom) 카메라가 출시됐다. 2025년 7월 출시 예정인 새로운 버전 2 펌웨어는 다자(Multi-person) 프레이밍, 안면 등록, 향상된 추적 범위, 리드 룸 효과를 탑재했으며, 원격 제작을 위한 CNA-2와의 호환성도 추가된다. 추가적으로 버전 2 소프트웨어를 통해 ILME-FR7 풀프레임 카메라와의 공통 기능 설정도 가능해진다. 나아가, 새로운 펌웨어 출시로 BRC-AM7과 FR7에는 원격 카메라 작동 및 설정 조정을 위한 소니의 최신 카메라 리모컨 툴 킷과의 호환성이 더해진다.

네트워크 라이브 포트폴리오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라이브 프로덕션 스위처 라인업 업데이트가 있다. 새롭게 출시된 MLS-X1용 버전 2.3 펌웨어는 조건부 매크로 기능으로 운영자로 하여금 스위처 상태에 따라 작업을 사전에 구축하도록 지원해, 제작 효율성을 높이고 기술 디렉터의 부담을 줄여준다. 또한, M2L-X 소프트웨어 기반 프로덕션 스위처는 COTS(Commercial Off the Shelf) 장비와 클라우드에서 시연되며, M2 라이브 클라우드 기반 프로덕션 플랫폼은 써드파티 오디오 믹싱 보드와의 새로운 통합을 보여줄 예정이다.

실시간 미디어 전송 처리 및 통합에 집중하는 소니 그룹사 네비온(Nevion)도 최신 업데이트를 선보인다. 소프트웨어 정의 미디어 노드인 Nevion Virtuoso는 새로운 고밀도 AES/아날로그/MADI 변환기와 더 많은 오디오 소스를 제공하는 추가 기능을 지원한다. Virtuoso의 HEVC 저지연 및 저비트율 기술도 소개될 예정이다. 5G[1]및 클라우드 환경을 통합할 수 있는 Nevion VideoIPath 미디어 통합 플랫폼도 전시된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프로덕션 환경에서 더 큰 유연성을 경험할 수 있다.

NXL-ME80용 1.2 버전 최신 펌웨어는 더 낮은 비트레이트 전송, 높은 안정성을 위한 향상된 지터 저항성, 그리고 새롭게 장착된 암호화 기능(AES256)을 통해 더욱 안정적인 비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사실상 무손실 초저지연 H.265/HEVC 코덱을 제공한다.

소니 호크아이 이노베이션스(Hawk-Eye Innovations)는 유연한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및 원격 제작 워크플로우를 위한 즉각적인 재생 방송 솔루션 HawkREplay를 선보인다. 이 솔루션은 소니의 HDC-5500 4x 4K 카메라 또는 HDC-P50A POV 카메라 및 CCU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술 쇼케이스와 함께 4K HFR 및 UHD 팬 및 스캔 기능을 지원한다. 방송 솔루션(Broadcast Solutions) 생태계 내 자산 관리 겸 ISO 기록 시스템인 HawkNEST도 새로운 제어 콘솔 및 채널 네비게이터 도구 기능을 탑재하여 전시될 예정이다.

최근 발표된 VENICE 확장 시스템 미니는 소니 플래그십 VENICE 2 풀프레임 디지털 시네마 카메라 사용 시, 얇고 분리 가능한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본체에서 센서를 분리 및 확장하며 유연성을 더한다. 이전 확장 시스템보다도 약 70% 작아, 좁고 불편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두 대의 유닛을 나란히 사용하면 공간 콘텐츠 제작 및 VFX 배경 촬영을 위한 입체적인 클립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은 하반기 국내 출시 예정이다.

이 밖에 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소니코리아 프로페셔널 솔루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문기 기자
mo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