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더불어민주당, 게임·이스포츠 돌본다… 2030 남성 유권자 공략

문대찬 기자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왼쪽)과 이재명 대표가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게임특위 출범식에 참가했다. [ⓒ게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왼쪽)과 이재명 대표가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게임특위 출범식에 참가했다. [ⓒ게임기자단]

[디지털데일리 문대찬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게임특별위원회를 출범하며 게임·이스포츠 산업 진흥 의지를 드러냈다. 조기 대선 분위기가 무르익는 가운데, 게임과 이스포츠 주요 소비층인 2030(20대·30대) 남성 유권자를 공략하겠다는 심산이다.

더불어민주당은 7일 국회의원회관 1세미나실에서 게임특별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게임산업 진흥, 이스포츠 생태계 활성화, 등급분류 규제 완화 등을 골자로한 정책을 발표했다.

이날 모습을 드러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과거 오락실에서 ‘갤러그’를 즐긴 일화와 성남시장 시절 게임산업 지원에 나선 경험을 언급하며 “한국 게임산업이 세계 무대를 향해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바꿀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게임특별위원회 출범식이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더불어민주당의 게임특별위원회 출범식이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민주당은 이날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저지 ▲지속가능한 이스포츠 생태계 조성 ▲등급분류 제도 개선 ▲게임·이스포츠 컨트롤타워 신설 등 4대 진흥 전략을 제시했다.

WHO는 2019년 국제 질병 표준 분류안에 게임 이용을 중독성 행위 장애의 일종으로 분류하고, ICD-11(질병분류체계)에 등록했다. KCD(한국표준질병분류)가 ICD를 기반으로 마련되는 터라, 국내 적용을 놓고 업계 우려가 큰 상황이다.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이 확정되면, 게임 이용자 상당수가 잠재적 중독자가 된다는 점에서 업계가 위축될 수 있다.

공동위원장 강유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게임 강국인 미국만 해도 WHO(국제보건기구)가 게임이용장애를 질병으로 간주했다고 해서 그대로 자국 질병 분류 체계에 인용하지 않았다”며 “게임을 질병화하는 것은 자해 행위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스포츠에 대해서는 “현재 구조상 국내 시장만으로는 게임단의 수익 창출이 어려운 만큼, 글로벌 마케팅과 해외 이벤트를 지원해 해외 리그 진출을 지원하고, 동시에 지역·생활 이스포츠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정부 주도의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를 단계적으로 민간에 이양하겠다는 뜻도 드러냈다. 1단계로는 민간 주도로 설립된 일본 게임 심의기구를 벤치마킹해 심사위원의 연령대와 분야를 다양화하고,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화한다. 2단계로 등급분류에 대한 사전 허가제를 자율 신고제로 전환하고, 현행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사후관리만 담당하게끔 개편한다.

이외 게임 정책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게임·e스포츠 산업진흥원'을 설립해 개발 자금, AI·클라우드 인프라, 해외 진출 등을 스타트업부터 중견 기업까지 폭넓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당 게임특위 공동위원장으로는 강 의원을 비롯해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출신의 황희두 노무현재단 이사가 올랐다. 부위원장으로는 국회 내 ‘대한민국 게임포럼’을 발족한 조승래 수석대변인, 엔씨소프트 출신의 이재성 부산시당위원장, 김정태 동양대 게임학부 교수 등 인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국회의원·민간 전문가 출신의 위원 20명과 민간자문위원 35명 등도 게임특위에 참여한다.

문대찬 기자
freeze@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