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건 토스 대표, "높은 수수료 비중 혁신 막는다"... 특혜 논란엔 말 아껴
[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이승건 토스 대표가 금융감독원 '봐주기' 논란에 대해 말을 아끼며 "당국의 결정을 잘 따를 것"이라고만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26일 성수동에서 열린 토스 앱 출시 10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저희는 피감 기관이고, 제재 등의 대해선 감독 당국이 판단하는 부분"이라며 "저희가 코멘트를 할 수 있는 입장에 있다고 생각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면서 "(금융당국의) 결정되는 부분에 대해 잘 따르는 게 저희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토스는 2022년 전자영수증 거래정보 2928만 건을 고객 동의 없이 토스 회원의 카드 거래 내역과 결합해 이용해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개인신용정보는 정보 주체가 동의한 목적으로만 정보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금감원 검사국은 이승건 대표 등에 대해 직무 정지 3개월의 중징계를 요구했다. 하지만 이 대표의 징계가 제재심의위원회를 거치며 기존보다 두 단계 낮아진 경징계로 결정되면서 '특혜가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한편 이 대표는 연간 흑자에 대한 기대를 내비치기도 했다. 이 대표는 "재무적인 실적에 대해서는 아직 감사가 다 끝나지 않은 걸로 알고 있기 때문에 말씀을 드리는 게 적절한지는 모르겠다"며 "연간 흑자를 기대하고 있는 게 맞다"고 말했다.
또 "올해부터는 기록적인 이익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게 사업 목표"라고 부연했다.
카드사들의 애플페이 도입 확산과 삼성페이 수수료 유료화 관련해선 "거래 수수료가 너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우려 되는 부분이 있다"며 "온·오프라인 거래에 있어 더 경쟁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픈뱅킹처럼 모든 결제 매체들이 서로의 네트워크를 열고 경쟁을 통해 거래 수수료가 내려갈 수밖에 없는 시장 경제적인 구조를 도입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IPO(기업공개)에 대해선 "지금 단계에서는 결정된 것들이 너무 없어 말씀드리기엔 이르다"며 "정해진 것들이 나오면 자리를 만들어 따로 말씀을 올릴 것"이라고 했다.
국내 상장을 추진하던 토스는 현재 미국 상장으로 선회한 상황이다.
K-액센츄어 시동, ISTN-INF 합병…“금융IT 차세대 석권할 것”
2025-04-23 19:54:41조주완 LG전자 대표 "인도 국민 브랜드 도약"…IPO는 '신중 거듭'
2025-04-23 18:23:55K-FAST 동맹 닻 올려…"K-콘텐츠 강화 위해 민관 뭉쳤다"
2025-04-23 18:01:24현대자동차·기아, ‘자동차 부품산업’ 지속가능한 성장 돕는다
2025-04-23 17:57:21“입법이 산업 발목 잡는다”…인기협, 국회 규제 관행 비판(종합)
2025-04-23 17:5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