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도 ‘딥시크’급 파괴력?…중국 로봇산업, 무시 못할 수준으로 성장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로봇공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 다이내믹스 창업자가 다쏘시스템(Dassault Systèmes)의 연례 최대 행사인 3D 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 EXPERIENCE WORLD 2025) 행사 중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로봇과 인공지능(AI)의 발전 방향, 산업적 활용 가능성, 그리고 윤리적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는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창립자로 오랜 기간 CEO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로봇공학과 AI 연구를 위한 로보틱스 & AI연구소(the Robotics & AI Institute, 이하 RAI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다.
레이버트는 AI와 로봇공학을 개별적인 기술이 아닌 상호 보완적 기술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산업과 학계의 협력을 통해 기술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AI와 로봇의 융합이 필수적이며,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의 역할이 점점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다만,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와 가정 내 도입에는 시간이 필요하며, 윤리적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도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최근 부상하고 있는 중국 로봇 기술력에 대한 의견도 밝혀 주목받았다.
다음은 주요 질의응답
A: AI와 로봇의 미래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보는가?
Q: 로봇 기술은 하드웨어 설계, 제어 시스템, 역학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다. 특히 AI는 로봇과의 소통, 고차원적인 계획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물리적 환경에서 로봇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AI와 로봇이 함께 개발되어야 한다. 단순히 AI만 개발하고 로봇에 적용하는 방식은 한계가 있다.
A: AI가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어디인가?
Q: 물류 창고와 공장은 로봇의 도입이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성장으로 인해 물류 창고에서의 자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가정 내 로봇 도입은 기술적, 비용적, 안전성 문제로 인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다.
A: 중국 기업들이 로봇공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Q: 중국의 제조업은 고품질 부품을 빠르고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로봇 개발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유니트리(Unitree)와 같은 중국 기업들은 매우 인상적인 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경쟁과 협력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A: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의 활용 가능성은?
Q: 많은 사람들이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과 동일한 신체 구조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중요한 것은 로봇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느냐이다. 다만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휴머노이드 로봇을 관심 있게 보고 있으며, 향후 자동차 조립 공정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A: 로봇과 AI가 무기화될 가능성은 어떻게 보나?
Q: AI와 로봇의 위험성을 경계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기술 발전을 멈추는 것은 비효율적인 접근 방식이다. 우리는 기술이 가져올 문제를 해결하면서 발전을 이어가야 한다. 과거 자동차가 환경 오염을 유발했지만, 기술과 규제를 통해 이를 해결해 나간 것처럼 AI와 로봇도 균형 있는 발전이 필요하다.
A: 로봇이 의료 및 응급 구조 분야에서 사용될 가능성은?
Q: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 ‘스팟(Spot)’은 체르노빌 원전과 후쿠시마 원전 내부 탐사에 활용된 사례가 있다. 또한 경찰이 무장 용의자와의 대치 상황에서 로봇을 사용해 위험을 줄이는 방식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도 병원에서 환자를 원격으로 진단하는 데 로봇이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앞으로 활용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이다.
A: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인간에게 위협이 될 가능성은?
Q: 인간보다 더 똑똑한 존재가 생긴다고 해서 반드시 위협이 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AI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작동하는지이며, 인간이 이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다. 지금 당장은 AI가 인간처럼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단계까지 오지 않았으며, 향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A: 로봇 제작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역할은?
Q: 3D 프린팅은 복잡한 부품을 경량화하고 신속하게 제작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아틀라스(Atlas) 로봇에서는 3D 프린팅을 활용해 유압 시스템의 부품을 소형화하고 경량화했다. 앞으로 로봇 제조에서 3D 프린팅의 활용도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K-액센츄어 시동, ISTN-INF 합병…“금융IT 차세대 석권할 것”
2025-04-23 19:54:41조주완 LG전자 대표 "인도 국민 브랜드 도약"…IPO는 '신중 거듭'
2025-04-23 18:23:55K-FAST 동맹 닻 올려…"K-콘텐츠 강화 위해 민관 뭉쳤다"
2025-04-23 18:01:24현대자동차·기아, ‘자동차 부품산업’ 지속가능한 성장 돕는다
2025-04-23 17:57:21“입법이 산업 발목 잡는다”…인기협, 국회 규제 관행 비판(종합)
2025-04-23 17:5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