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프린팅/디바이스

‘디자인-모니터-출력물’ 색상 달라 ‘혼란’…벤큐, 色 일관성 교차입증

김문기 기자
릴리 차이(Luly Tsai) 벤큐 컬러테크놀로지 연구소 시니어 컬러 기술자가 19일(현지시간)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25 컬러&디자인 세미나 서울’에서 발표하고 있다.
릴리 차이(Luly Tsai) 벤큐 컬러테크놀로지 연구소 시니어 컬러 기술자가 19일(현지시간)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25 컬러&디자인 세미나 서울’에서 발표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디자이너가 제작한 색상이 현재 고객이 보고 있는 색상과 같을까?”

릴리 차이(Luly Tsai) 벤큐 컬러테크놀로지 연구소 시니어 컬러 기술자가 19일(현지시간)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25 컬러&디자인 세미나 서울’에서 던진 화두다.

그는 동일한 작품이라고 할지라도 이를 모니터에서 바라볼 때 또는 출력물로 볼 때, 아니면 다른 제품이나 프로젝터, 사이니지, TV 등 다른 디스플레이로 봤을 때 동일한 색상 일치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각각이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인해 동일 색상이라고 할지라도 미세하게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차이 기술자는 이같은 색 불일치를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CMS)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는 “입력단계에서부터 색상의 일치를 위해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입출력물에서 색상을 보정할 수도 있고 캘리브레이션을 수치화할 수도 있다”라며, “가령, 색상에 대한 동일 표준 정보를 모두가 갖추고 있다면, 프로파일만으로도 정보를 공유해 그 색상을 표현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벤큐는 팬톤의 색상을 정확하게 표현해낼 수 있다는 증거로 팬톤 인증을 최초로 획득했다. 벤큐 모니터 라인업뿐만 아니라 디지털 사이니지 등도 펜톤의 인정을 받았다.

특히 중간 매개체로서의 모니터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차이 기술자는 “색상을 정확하게 사용하고 조정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매체가 바로 모니터다”라며, “디자인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편집을 할 때도 주로 활용하는 하드웨어 매체가 모니터이기에 전문가용 디스플레이 선택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색 일관성을 위해 벤큐는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이상현 벤큐 마케팅팀장은 “전문가용 모니터를 사용한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디자인부터 협업, 클라이언트 리뷰까지 색 일관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벤큐는 맥OS 사용자를 위한 MA 시리즈와 교차 인증된 전문가용 PD 시리즈, 색 표현에 있어 가장 높은 성능을 갖춘 SW 시리즈를 행사 데모부스에 전시하고 소개했다.

MA 시리즈는 맥OS 컬러 튜닝 기술이 적용된 모델이다. 맥북 설정 및 동기화를 통해 가장 유사한 색상 일치를 보여준다. 이 팀장은 “맥북 유저들이 맥 환경에서 큰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훌륭한 색상 일치감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PD 시리즈는 팬톤의 인증을 받은 전문가용 모니터 제품이다. 벤큐의 AQ컬러 기술이 적용됐다. DCI-P3 최대 98%, 델타 E 최대 2.0 이하를 구현한다. 개별 팩토리 캘리브레이션, 유니포미티(uniformity) 기술, 모니터간 색상 동기화뿐만 아니라 캘리브레이션을 돕는데 주력했다.

SW 시리즈는 컬러 퍼포먼스가 가능 높은 제품으로 어도비 RGB, DCI-P3 99%, 델타 E 최대 1.5이하의 색을 구현해준다. 벤큐 모니터 중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지원한다. 용지 색상 동기화 기술, 차광후드 탑재, 정밀한 프루핑을 위한 미세 코팅 패널을 갖춘 모델이다.


이상현 벤큐 마케팅팀장이 19일(현지시간)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25 컬러&디자인 세미나 서울’에서 발표하고 있다.
이상현 벤큐 마케팅팀장이 19일(현지시간)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25 컬러&디자인 세미나 서울’에서 발표하고 있다.

색 일관성 위한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 구축 필수

“전체 워크플로우에서 색 일관성을 유지해 작업자가 의도한 정확한 컬러의 결과물을 재현하는게 우리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CMS)의 궁극적 목표다.”

벤큐는 컬러테크놀로지 연구소를 통해 광학 제품군의 보다 정확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AQ컬러 테크놀로지 인증 절차를 따르고 있다. 이 내부 인증은 훨씬 더 까다로운 엄격한 기준의 패널 테스트를 통해 무결성을 보증하고, 정확한 표준을 위한 정밀도 보정, 감마 곡선 보정, 색온도와 색역 조정, 균일도 보정을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한다.

또한 내부 인증이기에 글로벌 컬러 전문업체를 통한 유효성 검증도 나선다. 칼맨과 팬톤 등 색상 전문 기관의 교차 검증이 끝나야만 AQ 컬러 인증을 받게 된다.

벤큐는 또 다른 강점으로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꼽았다. 컬러 입출력 장치 간 색 일관성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 팀장은 “CMS 구축이 생각보다 어려운데, 디자이너가 컬러 매니지먼트 전문가가 아니기에 그에 따른 어려움도 있겠으나 컬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도 상당하다”라며, “디지털에서는 RGB를, 인쇄 환경에서는 CMYK를 따르기 때문에 색상 일치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엇보다 컬러 매니지먼트와 관련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다”고 덧붙였다.

실제, 디스플레이에 종류에 따라 색이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동일하더라도 사용시간이 달라서 색상이 달라진다. 셋팅에 따라 달라지거나 환경에 따라서도 예를 들어 조명의 색온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파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압축을 통해 바뀌거나 최종 결과물 확인하는 플랫폼에 따라서도 색상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팀장은 “이같은 변수들을 하나씩 통제해나가는게 컬러 매니지먼트 과정”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 전문가 도움 받는게 좋다고 생각하며, 벤큐에는 컬러테크놀로지 연구소 많은 전문가들이 상주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전반적인 시스템 구축 전문가들이 있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벤큐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
벤큐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

무엇보다 전문가용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전방위적인 디자인 측면에서 확실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컬러 매칭 시행착오로 발생하는 비용, 시간, 인력 지출을 줄이고 작업자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해 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한다는게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 구축의 목표다”라고 마무리했다.

김문기 기자
mo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