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홈플러스 창립자가 내다본 미래 유통…“소규모 메타니티 경제가 뜬다”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대형마트 홈플러스 창립자인 이승한 넥스트앤파트너스(N&P) 경영연구그룹 회장이 미래 유통 산업에 소규모 메타니티 경제가 도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서 메타니티란, 메타(Meta)와 커뮤니티(Community)의 합성어다. 이 회장은 기업이 커뮤니티 기반의 서비스와 플랫폼을 제공해 소비자와의 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승한 N&P 경영연구그룹 회장은 18일 서울 강남 복합문화공간 ‘북쌔즈’에서 열린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옛날에는 수많은 사람이 군집하는 게 주가 됐지만, 이젠 ‘경험 경제’로서의 세그먼트가 잘게 잘린 형태의 유통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최근 유통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선 목적 지향적인 소규모 커뮤니티에서 배움, 경험, 관계를 중요시하며 함께 활동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 회장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새로운 경영 지침서 ‘인문과 과학으로 보는 통찰경영 : K-경영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된다’를 출간했다.
이 회장은 1997년 삼성물산 유통 부문 대표이사로 취임하고, 1999년부터는 홈플러스의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 회장으로 15년간 홈플러스를 이끌었다. 한국 유통산업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던 전문 경영인이다.
지난 2018년 퇴직 후에는 사회공헌을 목적으로 N&P 경영연구그룹을 창업해 후학 양성과 기업인들에 대한 멘토링과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날 이 회장은 “경영학을 기능적 요소가 아닌 ‘인문과 과학이 융합된 미래학’으로 접근해야 하며, 이를 통해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하며 책의 의미를 소개했다.
이 회장은 특히 2025년 대한민국에 대해, 패러다임 대전환기의 한가운데에서 위기를 눈앞에 맞이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및 인공지능(AI)과 공급망 대전환, 그리고 환경과 사회에 대한 패러다임 대전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 급격한 인구 감소와 저성장 궤도에 빠져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위기의식(Sense of Crisis)과 절박감(Sense of Urgency)이 요구되는 절체절명의 시기”라며 “이런 운명의 순간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통찰경영’이라고 보고, 통찰력과 통합력으로 조직을 움직여야 한다”고 평가했다.
이 회장은 기업들이 이러한 위기를 헤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변화를 바라보는 시선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찰력은 기업과 국가에 계획을 가져다줄 수 있는 능력이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원동력은 통합력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전통적인 경영학의 시대는 끝났다”면서 “미래 경영은 통찰의 시선으로 경영의 길을 찾고 통합력으로 조직을 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며, 여기에는 K-경영이란 리더십 모델이 글로벌 경영의 표준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지금 성장과 추락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기능에 치우친 경영학이 아닌 통찰의 경영학으로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한다면 K-경영의 기적을 다시 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한국식 경영을 잘 살리기 위해선 어떤 태도가 필요할까. 이에 대해 이 회장은 ‘애국심’과 ‘비빔밥’을 꼽았다. 먼저, 글로벌 기업과 한국 기업의 큰 차이는 바로 애국심에서 비롯된다. 1960년대 세계 최빈국에서 선진국이 된 배경의 첫 출발은 모든 기업가들이 사업 보호 차원에서 국가에 기여를 하자는 마인드였고, 국민들도 길을 가다가 애국가가 나오면 가슴에 손을 얹곤 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자국우선주의가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스탠다드를 중요시하면서도 ‘글로컬’이 시대적으로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그렇기에 다른 국가 것을 받아들여 비벼 가장 뛰어나게 맛있게 잘 만들 수 있는 시대에 가장 강력하게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이 바로 한국”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저서는 김연성 한국경영학회장을 비롯한 경영학회 소속 다양한 분야의 교수 6명과 홈플러스 대표 출신 설도원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가 6개의 주제로 나눠 공동 집필했다.
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2월 '토지거래허가제' 일시 해제 후폭풍… 4월 은행권 '가계대출' 큰 폭 증가
2025-05-14 14:47:41[AWS 서밋 서울] AWS, AI 실행 전략 강조…현대카드·트웰브랩스 사례 주목
2025-05-14 14:09:52[NSIS 2025⑤] 기존 암호체계의 붕괴? 보안업계 '양자' 뜨거운 관심
2025-05-14 14:0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