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현대차 전기차 인도네시아서 약진...50년 전통 日 기업 몰아낸다

이건한 기자
현대자동차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전기차 '아이오닉 5'가 생산되고 있다. [ⓒ 현대차]
현대자동차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전기차 '아이오닉 5'가 생산되고 있다. [ⓒ 현대차]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현대자동차의 인도네시아 자동차 전동화 사업이 순항 중이다.

5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자동차 업체 중 처음으로 전기차 '아이오닉5'의 현지 생산 및 판매 체계를 갖추고 1년만에 전기차 점유율 1위에 올랐다. 전기차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충전 인프라 확장에도 힘을 싣고 있다.

또한스타게이저, 크레타 등 현지 전략 차종도 인기다. 일본이 주도했던 현지 시장 분위기에 변화가 감지되는 분위기다. 현대차는 아세안 권역 내 자사의 첫 번째 완성차 생산 거점인 인도네시아를 아세안 공략의 디딤돌로 삼을 계획이다.

현대차는 올해 7월까지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 3913대를 판매했다. 시장 점유율은 56.5%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중국 우링자동차에 이어 2위였지만 아이오닉5 판매가 본격화되며 선두에 올랐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3월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준공식에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남기고 "아이오닉 5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현대차는 최근 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국제모터쇼(GIIAS) 2023에서는 두 번째 전용 전기차인 아이오닉 6를 출시하는 등 현지 전기차 시장을 지속적으로 개척해 나가고 있다. 이어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 현지에 건설 중인 배터리셀 합작공장이 내년 중 가동되면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바탕으로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현대차 인도네시아 판매법인(HMID)은 5일(현지시간) 현지 최대 유통업체인 ‘리뽀몰 인도네시아(Lippo Malls Indonesia)’와 전기차 충전소 확장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현대차와 리뽀몰은 인도네시아 전역 리뽀몰의 대형쇼핑몰 52곳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약진은 기존에 인도네시아 시장을 주도하던 일본 기업들에게 악재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판매법인(HMID)은 현지 자동차 판매 순위를 2021년 13위에서 2022년 8위로, 올해는 7월까지 6위로 계속 끌어올렸다.

같은 기간 시장점유율은 현대차가 3.4%다. 도요타(1위, 32.5%), 다이하쓰(2위, 19.6%), 혼다(3위, 14.5%), 스즈키(4위, 8.0%), 미쓰비시(5위, 7.6%) 등 주요 일본 업체들과는 아직 격차가 있지만 50년 앞서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하며 갖춰진 일본 독점 체제에 균열이 발생한 모양새다.

지난 8월 10일부터 20일(현지시간)까지 열린 인도네시아국제모터쇼(GIIAS) 2023에서도 변화의 양상이 확인됐다. 현지 발표와 언론보도에 따르면 현대차는 해당 모터쇼에서 3727대의 현장 계약을 달성했다. 도요타(1위, 5796대)에 이른 현장 판매 2위 기록이다. 3위 미쓰비시(3685)도 크게 앞섰다.

특히 인기를 끈 스타게이저는 현대차가 지난해 아세안 시장을 겨냥해 내놓은 특화 다목적차량(MPV)이다. 이번 모터쇼에서 도요타의 경쟁모델보다 더 많은 주문을 받았다. 현대차는 스타게이저 인기에 힘입어 지상고를 높이고 역동적 디자인을 적용한 '스타게이저 X'도 라인업에 추가해 현지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는 아세안 지역 공략도 확대하는 중이다.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1~7월 3만114대의 인도네시아산(産) 자동차를 아세안, 아중동 등 인근 해외 시장에 수출했다. 전년 동기 대비 70% 늘어난 물량이다.

아세안자동차연맹이 조사한 자료에서 올해 상반기 아세안 자동차 시장은 163만7226대 규모였다. 전년 상반기 대비 1.2% 성장해 지난해 연간 342만대 규모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 중 현대차가 생산거점을 가동 중인 인도네시아가 30.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태국(24.8%), 말레이시아(22.4%), 필리핀(12.4%), 베트남(8.4%), 싱가포르(1.1%), 미얀마(0.1%) 순으로 시장이 형성돼 있다.

이건한 기자
sugyo@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