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소재

에스비티엘첨단소재, 배터리 파우치 숙제 ‘신뢰성’ 풀었다…전고체 향한 진화

김문기

천상욱 에스비티엘첨단소재가 16일 인터배터리 2023 부스에서 자사 제품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천상욱 에스비티엘첨단소재가 16일 인터배터리 2023 부스에서 자사 제품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파우치는 우리가 최강자다.”

천상욱 에스비티엘첨단소재 대표는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3에서 <디지털데일리>와 만나 이같은 자신감을 보였다.

에스비티엘첨단소재는 이번 행사에 참가해 메인홀이라 불리는 A홀에 부스를 마련하고 고안전 이차전지 외장재 및 차세대 이차전지 파우치 필름을 선보였다. 자사가 보유한 외장재를 직접 전시해 관람객의 이목을 끄는데 성공했다. 이차전지산업 전문전시회로서 핸드폰/에너지저장장치(ESS)/전기차(EV) 및 차세대 이차전지까지 배터리 관련 다양한 신제품 및 관련 기술을 전시해 놨다.

현재 이 회사는 국내외 다양한 이차전지사 뿐만 아니라 전기차(EV) 사고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다양한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전시회를 통해 화재와 폭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과 차세대 이차전지인 전고체 배터리(Solid State Battery), 휘어지는 배터리(Flexible)전용 파우치 필름 등을 배치했다.

천상욱 대표는 “고객사에서 직접 경쟁사 제품과 우리 제품에 대한 안정성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다”라며, “130도에서 30분간 진행한 테스트에서 경쟁사 제품은 화재 폭발의 위험을 보여줬으나 우리 제품은 끝까지 버텨내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고 자신했다.

이어,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는 무조건 외장재로 파우치를 선택해야만 한다”라며, “외장재를 패킹할 때 전자와 전하를 이동시키기 위해 접점을 늘려 압력을 가해줘야 하는데, 파우치는 모형 그대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나 각형 등은 그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깨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차세대 전고체 외장재 파우치뿐만 아니라 휘어지는 성질의 배터리 파우치 역시도 국책과제를 유일하게 따낼만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강조했다.


에스비티엘첨단소재가 추진하고 있는 파우치 필름 사업은 소재 및 장치산업으로 10년 이상의 소재개발 기간과 이차전지 고객사에게 2~3년간 엄격한 품질인증 및 5년간의 생산전용 라인화를 통한 생산력을 입증했다. 기술 및 품질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기본이고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인 산업 아이템이기 때문에 2009년부터 현재까지 약 1000억원이 투입된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차전지 파우치 필름은 이차전지의 화재/폭발 안전성이 요구하는 기술장벽이 매우 높은 하이엔드 제품으로, 국가 차원에서 국산화 필수 항목으로 분류되어 소재 부품장비 핵심기술로 지정됐다. 현재 이차전지 파우치 필름은 일본의 2개사가 국내 시장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이후 한국의 최대 미래 먹거리인 이차 전지 산업이 일본으로부터 완전한 기술독립과 글로벌 미래 시장을 우리나라가 선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육성해야 하는 산업군이다.

천 대표는 “국내서 내노라 하는 핵심 기술자들을 소재별로 찾았고, 그 때 기회가 와 이 자리에 있을 수 있게 됐다”라며, “현재는 외장재뿐만 아니라 원자재, 접착제, 필름, 배터리 개발 등 파우치 생산의 전과 후공정 모두를 섭렵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자들까지 합류한 상태다”라고 소개했다. 소위 배터리 외장재를 위한 전천후 어벤저스가 모인 셈이다.

그는 “에스비티엘첨단소재는 포엠(4M)을 기조로 사람(Man), 장비(Machine), 소재(Material), 체계(method)를 중점으로 하는 내재화 생태계를 이뤘다”라며,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소형부터 전기차에 이르는 대형 배터리 외장재(파우치)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안정성과 신뢰성을 갖춘 제품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문기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