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계

반도체 현장 ‘척척 석·박사’ 부족… 민-관 강력한 양성책, 의대쏠림 극복할 수 있을까

백승은

- 올해 서울 주요 대학 반도체학과 등록 포기율 155.3%…2031년에는 5만명 이상 부족
- 민관 협력해 10년간 2228억원 투입해 석·박사 키운다
- 근본적 ‘의대 쏠림’ 현상 여전…“장기적 육성플랜 제시돼야”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반도체 업계의 해묵은 문제인 인력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나섰다.

정부가 100% 주도하던 기존 정책에서 나아가 기업이 직접 참여해 한층 현실성을 갖춘 정책이라는 평가가 등장한다. 그럼에도 ‘의대 쏠림’ 현상을 해결하기에는 현실적인 해결책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대학교 반도체학과 합격자 상당수가 등록을 포기하고 있다. 최근 종로학원이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등 서울 주요 대학교 반도체 취업 연계학과 2023년 정시 결과를 집계한 결과 등록 포기율이 모집인원 대비 155.3%로 나타났다.

특히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최초 합격자 10명 전원이 등록을 포기하며 ‘최초합 0’이 되기도 했다. 반도체학과가 의약학 계열 대학교에 밀리며 많은 수의 이탈자가 발생한 것으로 읽힌다.

이대로라면 오는 2031년에는 반도체 학·석·박사가 5만명 이상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최근 개최된 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반도체 업계는 인력 확보가 가장 시급”하다면서 “8년 뒤에는 학·석·박사 기준 5만4000여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같은 기간 원천 기술 확보에 필수적인 석·박사의 고급인력 역시 5000여명 이상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사업에서는 석·박사급 인력 확보가 특히 중요하다”라며 “소자구조, 회로 변경 등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경쟁력을 키워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도 인력난 해결을 위해 발동을 걸었다.

정부가 내놓은 ‘민관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양성사업’ 내용에 따르면, 정부와 기업이 절반씩 연구개발(R&D) 자금을 마련해 대학과 연구소에 지원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참가하며, 올해부터 2032년까지 총 2228억원을 투입해 반도체 석·박사급 반도체 인력 2365명 이상을 양성하겠다는 게 목표다.

이번 사업은 양해각서 체결 단계지만 벌써 업계에서는 기대를 보이고 있다. 기존 반도체 인력 양성 사업은 정부가 전적으로 R&D 자금을 대학이나 연구소, 기업에 전달해 취업을 보장해주는 방식이었다. 이 때문에 실제 길러진 인재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 간 차이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처음부터 정부와 기업이 함께 양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결국 인재를 활용하는 곳은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에 맞게끔 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면서 “이번 사업은 현실이 잘 반영된 편”이라고 말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근본적인 인력난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고 있다. 학생들이 반도체 관련학과에 진학하지 않는 것은 이공계 학생들의 ‘의대 쏠림’ 현상 때문인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학과 교수진을 확충하고, 시설을 새로 마련하는 등 내부적인 노력을 기울여도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의대 선호가 단기간에 해결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라면서도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이런 현상을 일부 완화할 수는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기술 인재에 대한 인식 변화와 보상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백승은
bse1123@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