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23의 또 다른 가치 ‘친환경’…폐어망이 스마트폰이 되는 과정은?
- S23 울트라 내·외부 부품 12곳에 친환경 소재 접목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폐어망과 폐생수통, 알루미늄과 파유리 등 전 세계 곳곳에서 버려진 쓰레기가 모여 ‘갤럭시 S23’ 시리즈에서 새로 태어났다.
이달 초 삼성전자가 공개한 S23 시리즈는 전작대비 확 성능을 높인 카메라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발열 제어 성능 등이 적용됐다. 달라진 것은 이뿐이 아니다. 총 12개의 재활용 소재 적용 부품이 사용되면서 친환경 요소까지 높였다. 이는 전작에 6개의 내장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적용했던 것보다 두 배가 많다.
13일 삼성전자는 서울 중구에서 ‘갤럭시 S23 친환경 개발 스토리 브리핑’을 가졌다. 이날 브리핑은 삼성전자 모바일익스피리언스(MX)사업부 기구개발팀장 박성선 부사장이 진행했다.
카카오뱅크, 자립준비청년 위해 웹툰 활용 '기부 캠페인'
2025-02-24 14:34:53[인터뷰] "AI로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클라우드처럼 보편적 도구 될 것"
2025-02-24 14:19:50"06년생, 공연·전시 지원해드려요"…문체부, '청년 문화예술패스' 발급
2025-02-24 14:18:41"카톡 선물·야놀자 예약, AI가 한다"…오픈AI, '오퍼레이터' 국내 첫 도입
2025-02-24 14:00:37"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