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갤럭시 S23의 또 다른 가치 ‘친환경’…폐어망이 스마트폰이 되는 과정은?

백승은
‘갤럭시 S23 친환경 개발 스토리 브리핑’을 진행 중인 삼성전자 MX사업부 기구개발팀장 박성선 부사장. <출처=삼성전자>
‘갤럭시 S23 친환경 개발 스토리 브리핑’을 진행 중인 삼성전자 MX사업부 기구개발팀장 박성선 부사장. <출처=삼성전자>

- S23 울트라 내·외부 부품 12곳에 친환경 소재 접목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폐어망과 폐생수통, 알루미늄과 파유리 등 전 세계 곳곳에서 버려진 쓰레기가 모여 ‘갤럭시 S23’ 시리즈에서 새로 태어났다.

이달 초 삼성전자가 공개한 S23 시리즈는 전작대비 확 성능을 높인 카메라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발열 제어 성능 등이 적용됐다. 달라진 것은 이뿐이 아니다. 총 12개의 재활용 소재 적용 부품이 사용되면서 친환경 요소까지 높였다. 이는 전작에 6개의 내장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적용했던 것보다 두 배가 많다.

13일 삼성전자는 서울 중구에서 ‘갤럭시 S23 친환경 개발 스토리 브리핑’을 가졌다. 이날 브리핑은 삼성전자 모바일익스피리언스(MX)사업부 기구개발팀장 박성선 부사장이 진행했다.


<출처=삼성전자>
<출처=삼성전자>

신제품 3종 중 가장 주력 제품인 ‘S23 울트라’의 총 12곳에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부품이 적용됐다. ▲내부 S펜 커버 ▲하단 스피커 우퍼(Upper) 파트 ▲사이드키 ▲볼륨키 ▲전·후면 글라스 등이다. S23 플러스와 S23은 각각 11개다.

기존에는 내부 부품에만 재활용 소재 적용 부품을 사용했지만 이번에는 처음으로 외부 부품까지 확장했다. 재활용 소재 또한 폐어망과 폐생수통·폐페트병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재활용 알루미늄과 재활용 글라스 등으로 다양하다.

재활용 소재 확장 적용으로 다양한 친환경 효과가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이중 폐어망의 경우 2023년 한 해 동안 15만톤의 폐어망을 수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성선 부사장은 “새 소재를 개발할 때 기획 단계부터 어떤 소재를 어떻게 활용해 환경에 미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것인지, 어떻게 내구성을 확보할 것인지 등에 대해 고민하고 목표를 수립한다”라며 “특수 소재 개발 시 상당히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데, 직·간접적으로 100여명에 달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수거된 재활용 대상 물질들은 많은 단계를 거쳐 제품에 담긴다. 폐생수통 재활용 플라스틱의 경우 먼저 폐생수통을 수거하고 잘게 부신 후 세척해 쌀 알갱이 크기를 만든다. 이후 플라스틱 성형 제작 시 금형에 녹여 가며 형상을 구현한다. 기계적 분해뿐만 아니라 물질의 분자 구조에 따라 화학적으로 파쇄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파트너사와 협력을 진행하기도 한다.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의 경우 인도의 어촌에서 폐어망을 수집하고 세척해 상품화하는 모든 과정을 협업했다.

재활용 소재를 연구하고 도입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지만 이로 인한 가격 인상은 별도로 없다. 박성선 부사장은 “재활용 소재 도입으로 인한 가격 인상에 대한 압박은 불가피하지만, 친환경 정책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기 때문에 관련 사항으로 인한 가격 조정은 없다”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MX사업부는 2025년까지 모든 갤럭시 신제품에 재활용 소재를 활용하고, 갤럭시 패키지에 일회성 플라스틱 소재품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다. 또 스마트폰 충전기 대기 전력과 MX사업장의 매립 폐기물을 ‘0’으로 만들 계획이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가전제품에도 재활용 소재를 확대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성선 부사장은 “삼성전자 디바이스익스피리언스(DX)부문 내 교류회와 개발 협의체 등이 존재하는데, 이를 통해 다양하게 협업하고 소통하며 생활가전과 TV 등에도 재활용 소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백승은
bse1123@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