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바이든 IRA 강행…현대차 '빨간불'·배터리 3사 '노란불' [中때리는 美法들②]

김도현

- 美 선제 투자한 韓 배터리, 위기이자 기회
- 여야, 미국과 협상 촉구…필요 시 입법도 시사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서명하면서 전기차 산업에 후폭풍이 크다. 국내 업체들도 직간접적인 영향권에 들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북미 시장 공략에 차질이 생긴 현대차를 비롯해 국내 배터리 3사와 소재, 장비들도 대응 모색에 나선 상태다.

IRA는 기후변화 대응과 의료보장 확충, 대기업 증세 등이 골자다. 이중 기후변화 범주에서 전기차 관련 조항이 등장한다. 우선 북미에서 제작된 전기차만 보조금 대상으로 지정된다. 일정 요건 충족 시 신차는 최대 7500달러(약 994만원), 중고차는 최대 4000달러(약 53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내년 1월부터는 배터리 소재와 부품에 대해 북미 지역 생산 및 조립 최소 비율이 2023년 50%에서 2029년 100%를 충족해야 한다. 아울러 배터리에 들어가는 광물 채굴과 제련이 북미 및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에서 2023년 40% 이상,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80% 이상 이뤄져야 한다. 원재료 시장을 장악한 중국 견제를 위한 조치지만 완성차업체와 배터리 제조사로도 불똥이 튀었다.

향후 세부사항 조율이 전망되지만 큰 틀은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중국의 리튬 코발트 흑연 등 배터리 주요 메탈 제련 비중은 60~70%에 달한다. 과거부터 중국 정부 차원에서 아프리카, 남미 등 광산을 대거 사들인 결과다. 전 세계 광물 총량은 정해져 있는 만큼 단기간에 중국 손아귀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미국 자동차 회사마저 불만은 내비쳤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차그룹이 날벼락을 맞았다. 19일(현지시각) 미국 연방국세청(IRS)이 발표한 ‘IRA 법안에 따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21개 차종’에 한국 생산되는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 등이 제외됐다. 이외 코나EV, GV60, 니로EV 등도 같은 신세다.

앞서 현대차는 55억달러(약 7조2600억원)를 들여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공장을 짓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가동까지 2~3년이 필요하다는 점. 현대차가 목표 시점으로 잡은 2025년 상반기까지 현지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는 의미다.

오는 11월부터 앨라배마 라인 전환을 통해 GV70 미국 생산에 돌입하지만 아이오닉 시리즈 등 주력 제품과는 별개다. 현대차는 앨라바마 공장에서 다른 전기차 모델을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지만 노조 협의, 부품 조달 등 해결 과제가 많다.

국내 배터리 3사 중에는 SK온에 여파가 가장 클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대비 현대차와 거래 물량이 많기 때문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선제적으로 미국 진출한 부분은 긍정적이다. 올해부터 조지아 1공장이 양산 돌입했고 내년부터는 조지아 2공장이 가동 개시한다. 미국 포드와 합작사(JV)도 테네시와 켄터키 등에 배터리 공장 구축 준비 중이다.

같은 맥락에서 LG에너지솔루션도 긍정적이다. 미국 GM과 손잡고 오하이오, 테네시, 미시간 등에 공장을 운영하거나 설립 중이다. 미국 내 가장 많은 생산능력(캐파)을 보유할 예정인 만큼 IRA 수혜가 기대된다. 미국 내 배터리 셀 공장이 없던 삼성SDI도 스텔란티스와 함께 연내 인디애나 공장을 착공하기로 했다.

걸림돌은 배터리 소재 공급망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중국산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낮춰야 한다. 국내 기업은 인도네시아, 호주 등으로 조달처 다변화에 나서고 있으나 짧은 시간 안에 중국을 아예 배제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어느 정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급망 다각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아직 구체적인 사항이 나온 건 아니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기업 피해가 가시화하면서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적절한 줄타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미국과 포괄적 협력을 추진하되 중국 시장에서의 지위가 약화되지 않도록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을 통해 중국과 협력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칠레 등 광물 생산국과 협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국회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움직임을 촉구했다. 여야는 정부에 한국산 전기차를 북미산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미국과 협상에 나서라고 주문했다. 필요한 입법 등을 통해 지원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한편 중국은 IRA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냈다.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은 중국의 신에너지 성장을 막기 위해 IRA를 밀어붙이는 고립주의적 사고방식에 빠졌다”고 비판했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