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데 대기하기 힘들지?' AI 무인계수 솔루션이 해결
[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코로나19가 만성화 돼가는 시점에 기존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중 새롭게 조명 받는 솔루션이 있다. 바로 출입자 인원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기술이다.
코로나 심각도에 따라 발동되는 거리두기 체제아래, 제한된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인원수를 분석할 수 있는 솔루션은 최근 공공기관과 대기업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기술 중 하나다.
AI지능형 영상 분석 기업 다인스도 이 기술로 조명받는 곳 중 하나다. 다인스는 최근 출입자 인원 제한 및 실시간 재실 인원 분석 솔루션을 출시하면서 지능형 영상 분석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계수(People Count) 사업 경험을 적용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솔루션은 출입구에서 입장 인원과 퇴장 인원을 분석해 가감하는 방식과 특정 공간에 현재 인원을 실시간 분석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표출되고, 일정 인원 이상이 되면 알람이 작동하는 방식이다.
앞서 다인스는 얼굴인식 기반 중복 카운트 방지 무인계수 시스템을 선보인 바 있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동일한 사람이 반복 입장하는 경우 중복 카운팅을 방지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지능형 영상인식 카메라를 이용해 입장객 얼굴을 인식하고 각각 인물에 암호화된 코드를 부여·기억하며, 동일 코드를 부여받은 사람이 재입장할 경우 이를 별도 관리하는 알고리즘이다.
회사는 ▲사전 정의된 감시영역에서 2인 이상이 진입하면 알림을 전달하는 2인감지 시스템 ▲일정 영역 내 군중 수를 추정하는 군중계수 ▲시설 대기 인원을 파악해 대기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대기열분석 ▲교통량을 데이터화하는 차량계수 등 시스템을 통해 무인계수시스템을 고도화시키고 있다.
현재 다인스 무인계수 솔루션은 포항 철길숲, 대구 빨래터공원, 수원화홍사랑채, 천안 독립기념관 등 전국 각지 명소에 적용돼 입장객 수와 성별 파악 등에 쓰이고 있다.
다인스 관계자는 "무인계수 솔루션은 지속해서 있어왔지만, 최근 코로나19로 더 조명받는 측면이 있다"며 "주로 대형행사가 있을 때 관공서나 대기업에서 대기시간 파악 등 목적으로 문의를 주는 일이 잦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어떤 분야든 초기 시장이 그렇듯 아직까지 무인계수 시장에 대한 구체적 규모는 알려진 바 없다. 이노트론, 유티코리아 등 업체들이 시장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에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다인스 관계자는 "최근 쓰임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AI기반 무인계수 시스템을 다른 분야에도 적용해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커졌다"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구체적 시장 규모 관련 리서치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인스는 구체적 실적은 공개하고 있지 않다.
"저커버그 1조원어치 팔았다"…美 CEO들, 1분기 자사주 대규모 매도
2025-04-21 18:06:55“K-미디어, 아직 글로벌 주류 아냐”...‘제2폭싹·오겜’ 계속 나오려면?
2025-04-21 18:05:56"가상자산 관련 임직원 사고예방" 등… 농협중앙회, 윤리경영위원회 개최
2025-04-21 17:46:00핑거, 세무대리인 플랫폼 '컴패스' 출시… "수임처 관리부터 업무자동화까지 한번에"
2025-04-21 17:28:45[DD퇴근길] "책임론 정면 돌파"…통신업계, 'AI 보이스피싱 탐지' 집중
2025-04-21 1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