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중국 당국이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이용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감시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국 내 감시망을 해외까지 확장해 중국에 적대적인 인사를 추적한다는 내용이다.
문제제기를 한 것은 미국 매체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이다. 지난 12월 31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는 중국 당국이 자국 내 반체제 인사 및 비평가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시민까지 추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중국은 조사 소프트웨어(SW) 및 데이터베이스(DB), AI를 활용해 특정인을 추적하는 등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전문적인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했는데, 상하이 경찰은 해외 계정을 조사할 때마다 건별로 1500달러를 제안한 조달 문서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익명의 제보자의 말을 빌린 뉴욕타임스는 “관심을 끈 단일 트윗이나 페이스북 게시물을 시작으로, 게시물을 올린 사람이 온라인에 게시한 개인 사진 등을 바탕으로 개인정보를 찾아낸 뒤 다크웹에 해킹된 DB와 대조해 신원을 특정한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이와 같은 추적 활동을 하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범죄 유형을 매뉴얼화하기도 했다. 위반 정도에 따라 1~3으로 분류하는데, ①최고 지도층에 대한 비판이나 정치적인 메시지 ②자유주의 이데올로기 조장 및 중국 정부에 대한 공격 ③명예훼손이나 음란물 등 콘텐츠 등이다.
뉴욕타임스는 제보한 이가 실제 해외 SNS를 추적해 개인정보를 특정한 뒤 중국 당국에 넘기던 사람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 공부하는 중국 학부생, 미국 시민인 중국계 미국인, 중국에서 근무한 언론인 등을 조사하는 임무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인터넷 통제를 모니터링하는 웹사이트 ‘차이나 디지털 타임스’의 검열 분석가 에릭 리우(Eric Liu)는 “트위터의 중국 사용자들이 점점 더 조심스러워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 때문에 계정을 비공개로 설정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중국 당국이 사용하는 데이터 감시 서비스(여론 분석 SW)에 주목했다. 당초 중국 내 인터넷 사용자와 미디어를 대상으로 하던 서비스가 2020년 초부터 트위터, 페이스북 등 여타 SNS까지 확대됐다는 점을 꼬집었다. 중국 내 서버에서 페이스북 및 트위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한다는 것이 워싱턴포스트의 설명이다.
비밀리에 이뤄지고 있는 작업인 만큼 실제 어느 정도의 규모로 감시 및 추적이 이뤄지고 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2014년 중국 국영 신문인 차이나 데일리는 200만명 이상이 여론 분석가로 일하고 있고, 또 다른 관영매체 인민일보는 2018년 중국 정부의 온라인 여론 분석 사업이 수천억위안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연간 50%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외신은 이와 같은 중국의 활동이 중국에 비판적인 여론을 억죄기 위한 수단이라고 꼬집었다. 위구르 및 중국 소수민족과 관련된 콘텐츠를 자동 선별해 추적하는 것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