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전자문서 활용률 71.9%··· “아직도 종이로 회의하세요?”
전자문서 활용률의 증가는 신기술 등장에 더해 지난 몇 년간 이어져 온 정부 노력의 결과다. 종이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환경 피해를 줄이는 데 더해 전자문서의 데이터를 인공지능(AI)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페이퍼리스 촉진 사업을 추진해온 정부는 ▲(공공) 대국민 고지·안내문 전자화 ▲(금융) 종이문서 이중보관 부담해소 ▲(의료) 전자처방전 도입 확산 ▲(유통) 전자영수증 도입·확산 등 4대 분야 전자문서 이용 확산을 장려해왔다.
13일 강필용 KISA 디지털진흥단장은 “전자문서법 개정으로 전자문서의 효력을 명확화하고 이중보관 부담을 해소하며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진입장벽을 완화함으로써 사회 전반의 전자문서 활용을 촉진했다”고 말했다.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강 단장은 행정·공공에서 발송되는 대국민 고지·안내문이 연간 4억6000만건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중 전자화가 된 것은 약 10%가량이다. 업무 절차 디지털화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강 단장의 설명이다.
그는 “요즘은 종이 우편물을 보내더라도 전달이 잘 안 된다. 우편함에 꽂고 가는 고지서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는 데다 제때 납부가 안 돼서 과태료가 발생하는 등의 피해도 발생한다. 모바일 전자고지로 전환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피력했다.
또 강 단장은 “KISA는 공공·민간 분야 전자문서 기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법·제도 및 기술 컨설팅과 전자문서 이용 확산을 저해하는 규제 발굴 및 개선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수용하며 본인 확인부터 전자서명과 보관·유통 및 증명서 발급 등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금감원 “올해 국내자본시장 불법행위 엄단”… 수시검사 등 신속한 감독
2025-02-24 10:30:23카카오페이, HD현대삼호와 맞손…"카카오페이포인트 연동 시스템 구축"
2025-02-24 10:29:49단체 채팅방 등에서 HTS· MTS 설치 유도, 100% 사기… 금감원, 악질 금융투자 피해사례 공개
2025-02-24 10:29:28"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