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국내 게임사①] 메타버스에 ‘플레이 투 언’까지…필수가 된 NFT
최근 국내 게임사들이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도입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토큰 1개의 가격이 일정한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NFT는 토큰마다 고유 가치를 지니는 것을 말합니다. 게임 아이템, 디지털 예술품 등 희소성이 중요한 분야에 NFT가 활발히 도입되는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의 블록체인 게임 사업 전략이 글로벌 게임 산업 판도를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이 블록체인 산업 내 유행을 넘어 미래 콘텐츠의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NFT의 활용 분야가 크게 게임 아이템과 디지털 예술품 두 가지로 분류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NFT 활용 게임이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게임 업계도 마찬가지다. NFT를 도입한 게임이 메타버스를 선도하고,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 벌기 위해 게임한다)’ 열풍을 일으키면서 NFT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기존 블록체인 사업을 전개하던 게임사 외에도 NFT 사업에 새롭게 나서는 게임사들이 늘고 있다.
◆NFT, 왜 선택 아닌 필수가 됐나
[NSIS 2025③] 단순 '철학'은 옛말, 걸음마 뗀 제로트러스트 보안
2025-05-12 13:12:06KB금융, AI·혁신기술 보유한 스타트업 모집…이달 30일까지 지원 가능
2025-05-12 12:45:10기업은행, 중기 맞춤형 ‘IBK ESG정밀진단 시스템’ 출시
2025-05-12 12:44:56[대선 2025] 김문수도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 이재명에 맞불
2025-05-12 12:44:43신학기 수협은행장, 유럽 투자은행 방문…ADB 연차총회도 참석
2025-05-12 12:2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