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中 BOE, 8세대 OLED 준비…삼성·LG, 아이폰 애플 3파전 '점화'

김도현

- 아이폰 이어 아이패드 패널 납품 시도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중국 BOE가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략 속도를 높인다. 핵심 타깃은 애플이다. 아이폰 아이패드 등 패널 탑재를 준비 중이다. 국내 업체와 경쟁이 불가피하다.

1일 업계에 따르면 BOE는 8세대(2200㎜×2500㎜) OLED 개발에 착수했다.

그동안 스마트폰 등에 투입되는 OLED는 6세대(1500㎜×1850㎜) 유리 또는 플라스틱 원장으로 생산했다. OLED 장착 스마트폰이 전체 50%를 상회하고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 등에 OLED 채용 확산으로 수요가 급증했다.

시장을 주도해온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채산성 확대를 위해 원장 크기를 늘리기로 했다. 원장이 커지면 한 번에 더 많은 패널을 만들 수 있다. 원장을 잘랐을 때 쓸 수 있는 면적의 비율(면취율)이 높아진다는 의미다. 가령 8세대에서는 34인치 12장, 32인치 6장을 뽑아내는데 6세대 대비 약 1.5배 많다.

이들 업체가 준비 중인 8세대 제품은 대형 패널인 퀀텀닷(QD)-OLED 및 화이트(W)OLED와 차이가 있다. 두 제품 공장도 8세대 원장을 활용한다. 다만 각각 청색, 백색 유기물질이 발광원으로 빛 변환층(컬러필터)을 별도로 둔다. 중소형 패널은 레드·그린·블루(RGB) 유기물이 발광원이다.

같은 OLED인데 차이 나는 이유는 증착 공정때문이다. 증착은 진공 상태에서 물질을 가열해 특정 위치에 RGB 소자를 입히는 단계다. 물을 끓이면 수증기가 위로 올라가는 원리다.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세한 구멍이 뚫린 파인메탈마스크(FMM)를 활용하는데 워낙 얇아 일정 수준 커지면 처지게 된다. 이에 6세대 이상에서는 FMM 사용이 어려워 하나의 유기물만 증착하는 오픈메탈마스크(OMM)를 적용한다.

디스플레이 제조사는 증착 방식 변화로 8세대에 도전할 방침이다. 평면에서 수직 구조로의 전환이다. 기판을 세워 아래에서 위가 아닌 옆에서 옆으로 증착하려는 계획이다. FMM 및 증착장비 업체와 협업을 통해 2023년 또는 2024년 양산이 목표다.

BOE와 CSOT 등 중국 업계도 이같은 흐름에 합류하려는 의도다. BOE의 경우 중소형 OLED 강화를 위해 꾸준히 애플 공급망 진입을 시도했다. 아이폰12 리퍼비시용 패널 제공에 성공한 데 이어 아이폰13 정식 납품이 임박한 것으로 전해진다. 애플을 양분 중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긍정적인 소식이 아니다.

애플은 태블릿 아이패드에도 OLED 투입을 고려 중이다. 2023년 전후로 OLED 도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BOE는 ‘3파전’ 구도를 공고히 하기 위해 8세대 OLED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다는 후문이다.

BOE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기 분야에서는 선점에 성공했다. 해당 제품은 패널은 작지만 인치당 픽셀수(PPI)를 대폭 높여야 한다. 실리콘 기판 기반의 마이크로OLED가 대안으로 꼽힌다. BOE는 망원경용 마이크로OLED를 생산하는 데 연구단계 수준인 국내 업체보다 한발 앞선 상태다. 애플이 스마트 안경 등을 준비하는 만큼 BOE에 기회가 주어질 가능성이 크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