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정부 클라우드 전환 ‘첫발’…110억원 규모 올해 첫 사업 발주

백지영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통합 사업 1~3차로 나눠 발주
-1차 사업은 20개 기관 133개 대상, 대기업 참여 가능 사업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정부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사업이 본격화된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를 발표하며 올해부터 5년 동안 8600억원을 투입,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 1만9개를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13일 조달청 나라장터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110억원 규모의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통합사업(1차)’ 사업을 발주했다. 당초 올해 509억원을 투입해 430개 시스템을 전환할 예정이었으며, 이를 1~3차 사업으로 분할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사업은 80억원 이상의 사업이기 때문에 대기업 참여가 가능하다.

우선 이번 1차 전환 대상 목표 시스템은 20개 기관의 133개 시스템이다. 행정안전부 민원서비스종합평가e시스템, 외교부 영상정보방송, 해양경찰청 보안정보관리시스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철도사고조사관리시스템 등 4기 시스템을 제외한 129개 시스템이 모두 민간 클라우드로 전환된다.

129개 시스템에는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대표홈페이지, 기초과학연구원 전자도서관을 비롯해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원심의자료공유시스템·전자결재·ERP, 전라남도청 도로관리사업소 홈페이지, 당진시 코로나19 대응페이지, 전남개발공사 경주장 홈페이지 등 다양하다.

행안부는 국가안보, 범죄수사, 재판 등과 관련된 정보시스템을 제외하고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을 획득한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 서비스를 적극 이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올해는 사업 규모가 크지 않지만 내년에는 2999억원, 2023년엔 1753억원, 2024년엔 1239억원, 2025년엔 2179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어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비중은 5년 후 절반 가량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전환기업,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기업(CSP),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제공기업(MSP), 보안기업 등 역할별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주체의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CASP 인증을 받은 IaaS 기업은 네이버클라우드, KT를 비롯해 가비아, NHN, 스마일서브, 삼성SDS, 더존비즈온, LG헬로비전 등 8개이며, SaaS 및 디지털 서비스에 등록된 서비스도 28개에 달한다.

특히 정부는 이번 1차 사업의 제안요청서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 환경 구성 시 국산 및 공개(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우선 적용할 것을 명시했다. 운영체제(OS)와 웹/WAS, DBMS 등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국산 및 오픈소스 화경으로 구성할 경우 티맥스, 한글과컴퓨터, 큐브리드 등 국산이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보안 강화를 위한 최소 2티어 이상의 DB서버가 분리된 환경으로 구성할 것과 외부 시스템 연계시 IPSecVPN, 전용선 등 보안통신을 이용한 환경 구성, 웹방화벽, 접근제어, 서버 백신을 통한 보안 강화 및 백업정책, 보안관제 서비스 위탁시는 전문 보안기업이 수행하는 등의 클라우드 전환 기준(원칙)을 제시했다.

한편 행안부는 오는 2025년까지 클라우드 전환 추진계획 기간 동안 상승 없는 기준요금 적용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1차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약 40억~53억원의 예산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